
케이조선의 미국 국적 유조선 건조는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에 따른 수혜가 국내 중소형 조선소까지 확대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아울러 미국 국적의 선박을 한국에서 건조하게 돼 향후 글로벌 해운사들의 한국 조선사에 대한 선호도가 훌쩍 뛸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에서는 케이조선의 미 국적 취득 선박 건조가 회사 성장에도 기폭제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선박이 미 국적을 취득하려면 미국 선급협회가 요구하는 규격과 기준 등에 부합하도록 설계돼야 한다. 케이조선이 이번 선박을 무사히 건조해 미 국적 아래 취항할 경우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도와 입지는 한층 공고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중국의 거대한 상선 군단에 대항할 미 상선 확충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더월드팩트북에 따르면 중국 국적의 상선은 8300여 척으로 전 세계 점유율이 8% 수준에 이른다. 반면 미국 상선의 점유율은 파나마(7.9%), 일본(5.0%), 라이베리아(4.7%), 마셜제도(4.0%)보다 낮은 3.4%에 그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 국적 상선을 늘리기 위해 글로벌 주요 기국 중 하나인 파나마에 대해서도 끊임없이 압박을 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나마 정부에 대해 군사력 동원 가능성까지 내비치며 파나마 운하와 기국을 미국이 직접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을 수차례 펼쳐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의 지배력을 문제 삼아 이 같은 위협을 가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그가 파나마 기국을 흡수하려는 의도를 깔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에 따라 향후 미 국적 상선을 건조하려는 수요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 국적을 취득하면 운영 등에 대해 25~33% 수준의 세액공제를 받는 등 다양한 지원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또 미국은 최근 중국에 대해 선박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고 해외 선박들에 대한 규제 수위를 높이는 등 해운업에서도 자국 우선주의를 강화하고 있다. 미 국적을 달면 국가 비상시 전략적 역할 수행을 담보하기 때문에 미 항구 이용에 있어서 해외 기국 선박보다 우대를 받는다.
아울러 마스가 프로젝트가 본격화하면서 향후 미국이 발주할 대규모 상선에 대한 수주를 한국 조선소들이 주로 맡게 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올해 4월 미 의회에서 초당적으로 발의된 ‘미 조선업과 항만시설법’에 따르면 미국은 전략 상선단을 확충하기 위해 2035년까지 250척의 상선을 추가 발주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8월 미국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현지 건조 물량에 더해 “한국산 선박을 살 것”이라는 의사를 분명히 내비친 바 있다.
올해 8월 미 의회에서 발의된 ‘상선 동맹국 파트너십법’이 시행될 경우 미 선박은 미국에서 건조돼야 한다는 ‘존스법’ 규정도 완화될 수 있다. 이 경우 미 국적을 획득하고 일부 기준을 충족할 경우 해외에서 건조된 상선도 미국 상선으로 취급받을 수 있다. 한국 등 동맹국에서 건조한 상선도 미 상선으로 운행이 가능해져 그간 생산 여건이 열악하고 건조 비용이 높아 미국 현지 건조 작업에 대한 우려가 높았던 국내 조선사들의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그간 국내 조선 업계는 대형 조선사를 중심으로 미국 내 상선 건조를 위한 채비를 해왔다. 삼성중공업은 6일 선박 설계·기자재 조달사인 디섹과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삼성중공업은 자사의 조선·해양 건조 기술과 디섹의 현지 설계·조달 역량을 연계해 마스가 프로젝트에 최적화된 공급망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미 조선소 현대화 작업 역시 디섹과 함께 진행한다.
HD현대는 현지 업체들과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올 4월 전략적 협업 관계를 맺은 에디슨슈에스트오프쇼어 조선소와 미국에서 액화천연가스(LNG) 추진 컨테이너선을 건조하고 향후 협력 범위를 다른 선종과 항만 크레인 분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한화그룹은 지난해 12월 인수한 미 필라델피아 소재 한화 필리조선소에 추가로 50억 달러(약 7조 원)를 투자해 연간 건조 능력을 1척에서 20척으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로터리] 포워딩 산업, 해수부가 맡아야](https://newsimg.sedaily.com/2025/11/05/2H0C67ITQH_1.jpg)


![[AI MY 뉴스] 오늘 A주 '미중 관세 불확실성 완화, 신성장 정책방향성 주목'](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