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부터 기관투자자까지 역발상 신호
AAII 설문, 프라임브로커리지 데이터 등
"장기금리 4~4.5%, 밸류에이션에 최적"
"취임식 이후 수익률 좋아, 3개월 +3.7%"
이 기사는 1월 20일 오후 2시3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 주간 프리뷰] 채권으로 '발길', 장기금리 저항 역력①>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3. 주식 역발상 신호?
국채시장 안정화 전망과 함께 나오는 것이 주가 반등 지속의 기대다. 투자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매수 기회를 암시하는 반대 심리지표가 포착되고 있다. 관련 현상은 개인투자자부터 기관투자자까지 전반적으로 관찰됐다. S&P500 시세의 RSI(상대강도지수, 14일)은 지난 10일 39로 과매도 기준선인 30에 다가서기도 했다. 현재는 55로 반등했으나 그래도 지난달 초순 과매수 기준선인 70에 바짝 다가섰던 것보다는 크게 낮은 상태다.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역발상 신호가 미국 개인투자자협회(AAII)의 설문 결과다. 지난주 16일 공개된 개인투자자 대상 관련 주간 설문 결과에 따르면 앞으로 6개월간 주식시장에 대한 약세 전망의 응답 비중은 40%를 초과하는 수준으로 늘었고 강세 전망은 30% 미만으로 떨어졌다. 약세 전망이 40%를 초과하고 동시에 강세 전망이 30% 미만으로 하락한 것은 2023년 11월 이후 1년2개월 만이다. 주가 하락 우려에 대한 상당 부분이 반영된 모습이라는 설명이 뒤따른다.
아울러 골드만삭스의 투자심리 지표는 '0'까지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2에서 +2 사이의 값을 갖는 관련 지표가 0으로 하락했다는 것은 투자심리가 '중립적'인 상태에 도달했다는 뜻이다. 일단 주식시장 시세의 높은 변동성에 대한 우려가 일단 진정됐으면서도 낙관론은 드러나지 않는 상태라고 할 수 있겠다. 지난주 주가 반등의 지속력에 힘을 보태는 지표다. BofA의 강세·약세 지표도 현재 3.8(0~10, 8 초과 시 매도, 2 미만 시 매수 신호 해석)로 중립 신호를 발신 중이다.
헤지펀드를 비롯한 기관투자자의 낙관론도 줄었다. 모간스탠리의 프라임브로커리지 데이터에 따르면 회사의 고객사인 헤지펀드들의 롱포지션 순비중은 53%로 12개월 중간값을 상회 중이지만 64번째 백분위수에 머물고 있다고 한다. 낙관론이 과도하지 않다는 뜻이다. JP모간의 관련 데이터에서도 롱포지션의 순비중이 65~70%로 파악돼 극단적인 수준이 아닌 것으로 조사됐다. 골드만삭스의 통계도 비슷하다.
또 CNN의 공포·탐욕지수는 현재 '공포' 영역에 머물러있다. 전반적으로 주식시장이 시장금리 상승세에 의해 겁을 먹었다가 반등을 시작한 2023년 가을과 유사한 패턴이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비관적인 전망이 상당 부분 반영된 상태이므로 긍정적인 소식이나 양호한 실적 등에 긍정적으로 반영할 여지가 커졌다는 설명인 셈이다. 이밖에 옵션시장에서는 풋옵션 수요 증가세가 확인됐다.
BofA의 하트넷 전략가는 매월 중순에 발표되는 자사의 펀드매니저 대상 설문 결과를 유의깊게 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관련 설문 결과 총운용자산 대비 현금 비중이 4%를 넘어서면 매도 신호 종료로 볼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12월 설문 결과에서는 3.9%로 하락한 것으로 나왔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현금 비중이 4%를 밑돌 때마다 MSCI세계주가지수로 측정한 전 세계 주가는 평균적으로 다음 달 떨어졌고 낙폭은 2.4%로 파악됐다.
4. "4~4.5%, 스위트스폿"
강세론자들에 따르면 현재 인공지능(AI)이라는 장기적인 강세 테마가 여전히 살아있고 기업 실적도 우호적이어서 금리 상승에 의한 시세 동요는 일시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팩트셋이 집계한 애널리스트 컨센서스에 따르면 S&P500 기업들의 4분기 주당순이익 증가율(전년동기 대비) 추정치는 11.5%에서 12.5%(올해 연간은 15%)로 상향되는 등 낙관적 시각이 실제 수치로 뒷받침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 시장금리의 진정 양상이 빨리 찾아올수록 주식시장의 반등은 활기를 더할 가능성이 크다. 모간스탠리는 10년물 국채 금리 4~4.5%가 주식시장 밸류에이션의 '스위트스폿(이상적인 구간)'이라고 했다. 10년물 금리가 4.5% 밑으로 내려가야 현재 시장금리 변동에 요란하게 반응하는 현상도 잠재워질 것이라는 얘기다. 모간스탠리는 "[4.5%를 밑돌 때까지] 주가와 국채 금리의 음의 상관관계는 지속될 것"이라고 했다.
일부 전문가는 20일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 후 주식시장이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들어설 것으로 기대한다. 과거 통계적으로 대통령 취임식 이후의 주식시장 수익률은 취임 전보다 높았다. 제프리스가 1929년부터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S&P500의 취임식 후 3개월 평균 상승률은 3.7%로 3개월 전 1%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취임 6개월 후 평균 상승률은 8.3%, 12개월 뒤는 9.5%로 각각 집계됐다.
이런 분석이 가능한 것은 대선 기간에는 정책 불확실성 등에 의해 시세가 소극적으로 반응했다가 새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관련 불안감이 해소돼 반색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과거 새 행정부가 출범 초기 경제 성과를 보여주려고 적극적인 경기 활성화 노력을 전개하는 현상도 우호적인 요소가 됐다. 제프리스는 "취임식을 전후로 불규칙한 움직임을 보이지만 취임 후 몇 달이 지나면서 상황이 개선되기 시작한다"고 했다.
한편 20일 미국 주식시장은 연방 공휴일인 '마틴루터킹주니어 데이'를 맞아 휴장한다. 취임식과 마틴루터킹주니어 데이가 겹치는 경우는 이번을 포함해 미국 역사상 3번째(1997년 빌 클린턴, 2013년 버락 오바마)다.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