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최근 경기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책 방향을 바꾸었다. 내수 활성화로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 약 5%를 달성하기 위해 재정적자 비율을 역대 최고 수준인 국내총생산(GDP)의 4%로 상향 조정했다. 필요하면 적자율을 더 높인다는 입장이다.
소비촉진과 더불어 경기 부양책의 핵심은 부동산 시장 안정화다. 중앙정부는 지방정부가 특수채 발행으로 남아도는 주택을 사들이도록 허용했고 가격 상한선을 없애기로 했다. 또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전국 기금을 만들 계획이고, 토지 사용권과 도시 거주권도 개혁하려고 한다.

금융 정책 측면에서는 완화 기조가 지속될 전망이다. 중국 인민은행(PBoC)은 올해 은행 지급준비율(RRR)과 기준금리를 각각 약 0.5%포인트 내릴 가능성이 높다. 최근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3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환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진 만큼, 추가적인 통화 완화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정책 전환 이후 중국과 홍콩 증시는 흐름이 안정적이다. 특히 AI 주도로 인터넷·기술 부문이 강세를 보이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경기순환주도 투자 기회로 떠오르고 있다. 시멘트·철강 부문은 인프라 투자 확대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건설기계 부문은 장비 교체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며, 유제품 부문 역시 소비 회복과 원재료 가격 정상화에 힘입어 성장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소비재 부문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전자상거래·헬스케어 등에서 신호가 긍정적이다.
일부 애널리스트는 보조금과 국유은행의 자본 확충을 위한 자금 조달 규모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중국 정부는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부양책을 시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만, 이번 부양책은 2008~2010년 금융위기 당시처럼 대규모 지원을 단행하는 방식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시행될 가능성이 크다.
향후 중국경제의 성장세를 결정짓는 변수 중 하나는 미·중 무역 관계다. 시장에서는 중국 해운업에 대한 미국의 추가적인 압박 정책과 미국 우선주의 정책 재검토 등 일련의 무역 이슈를 주목하고 있다. 이에 대한 중국의 대응책은 4월 말 정치국 회의에서 논의될 것으로 보이지만, 실질적인 정책 조정은 7월 이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결국 중국은 소비촉진과 기술산업 육성을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으며, 필요하면 추가적인 부양책을 시행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정책 기조가 점진적인 형태를 띠고 있는 만큼 시장의 기대와 온도 차가 있을 수 있다. 향후 몇 달 동안 중국 정부가 추가적인 조치를 내놓을지, 그리고 그것이 시장 기대를 충족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것이다.
레이 패리스 이스트스프링 수석 이코노미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