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원호 원자력안전위원장이 수명을 다한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 안전성을 검토하고 소형모듈원전(SMR) 규제기반을 갖추는 데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16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원안위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모든 원전에서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설계·건설·가동·계속운전·해체 전 과정에서 안전성을 확인하겠다”며 특히 “계속운전 원전의 안전성을 면밀히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 안건을 한차례 보류 후인 이달 23일 재상정해 논의할 계획이다.
최 위원장은 “총 26기의 가동 원전은 주기적인 검사 등을 통해 안전성을 확인하고 있으며 사업자가 기후변화, 외부위협 등에 적극적인 계획을 마련토록 하고 이행 상황을 확인하고 있다”며 “올해 국내 최초로 해체계획서가 승인된 고리 1호기가 안전하게 해체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현장을 점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국형 SMR 개발 등 미래 원자로 규제체계를 착실히 준비하겠다”며 “신청이 임박한 i-SMR 표준설계인가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규제기반을 완비할 예정이며 물을 냉각재로 사용하지 않는 다양한 비경수로 개발에 대비한 규제체계도 내실 있게 구축해 나가겠다”고 했다.
원전 사고와 항공승무원 종사자의 방사능 위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평산 우라늄 정련시설 폐수 방출 등에도 대비한다. 최 위원장은 “운전 중에도 원전의 안전성을 검사할 수 있는 상시검사를 2027년부터 전 원전에 적용하기 위해 최적의 운영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