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설 명절 연휴에 리조트발 교통대란 당시 최대 7시간까지 차 속에 갇히는 상황까지
명확한 제설구간 지정 필요
폭설이 내리면 무주군청 대표전화 벨소리는 쉬지않고 울려댄다. 제설작업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항의민원이 구간과 관계없이 무주군으로 몰려 ‘동네북’이 되고 있는 상황. 이로 인해 당직자들의 깊어지고 쌓여가는 피로도와 고충이 임계점에 달했다는 지적이다.
이런 날 근무자들은 “대한민국 대표관광지라고 부르짖는 무주군의 제설작업이 고작 이정도 밖에 안되느냐. 망쳐버린 가족들여행을 책임져라”는 등 거친 항의성 전화에 하나하나 대응하느라 두려움에 빠져들 정도여서 적절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당직자들의 대처법은 그리 마땅치 않다. “죄송합니다. 빨리 조치하겠습니다”라는 답변과 함께 연신 고개 숙이기에 바쁘고, 관련부서인 ‘건설과’나 ‘안전재난과’로 전화 연결시키는 게 그나마 할 수 있는 최선책인 것.
특히 이같은 상황은 지난 설 명절 연휴 초(지난달 27~30일)에 폭설이 내렸던 시기에 극에 달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때 당시 무주덕유산리조트에 스키동호인과 향적봉 정상의 상고대를 보러 온 곤돌라 탑승객들이 동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몰리면서 초유의 교통체증 상황이 빚어졌다. 때마침 덕유산 리조트 인근에 내린 폭설까지 한몫 더하면서 제대로 ‘제설작업’이 진행되지 못해 대부분의 관광객들이 짧게는 서너시간, 길게는 일곱시간 이상 차 안에 갇혀 고통스런 시간을 보내야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이 기간에 차량을 밀어 움직이는 제보영상이 인터넷과 sns 등을 통해 널리 퍼지면서 ‘관광 일번지로서의 이미지에 먹칠을 했다’는 후문이다.
관광객들의 불만은 폭등했고, 이같은 불만 가득한 항의전화는 리조트와의 전화연결이 되지않아 애먼 해당 지자체 ‘무주군’으로 향했다.
급기야 리조트 측은 무주군에 지원 도움을 청했고, 무주군은 궁여지책으로 ‘무주덕유산리조트에 많은 차량 유입으로 차량정체가 심함에 따라 리조트를 찾는 차량 이용자들은 각별히 유의바란다’는 SNS 문자를 발송한 것과 비축해놓은 ‘비상용 염화칼슘’을 리조트 측에 빌려주는 것으로 대처할 수 밖에 없었다. 리조트 측은 군청에 인원과 장비지원을 요청했으나 ‘도로도 아닌 사적 영역에까지 그같은 지원은 곤란하다’라는 입장을 밝히고 제설재를 빌려주게 된 것이었다. 리조트 측이 빚어낸 ‘제설작업과 대책마련 미흡’이 무주군청의 잘못인 양 방문객들로부터 ‘동네북’이 되는 결과가 나온 것. 덕분(?)에 고스란히 화풀이 대상은 군청이 됐다.
이날 이후로 대설주의보가 내린 날 군청당직자들은 "전화벨만 울리면 두려움이 앞선다"고 한다.
이와 함께 무주군이 ‘남원국도로부터 위임받은 국도 37호선 34.7Km 2개 구간 외에 나머지 국도 부분에 대한 책임소재는 ’남원국토관리사무소‘에 있는 바, 이들 구간에 대한 제설작업을 비롯한 도로정비는 정확한 구분을 지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무주군 관계자는 “우리 군 관내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사고, 비상상황은 우리 군청에서 책임감을 가지고 대처해야 한다는 생각은 대부분의 직원들이 인식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사적 구역이나 위임받지 않은 국도 구간까지 군청에서 모든 것을 대응하고 책임져야 한다라는 건 무리가 있는 것 아니냐”고 하소연했다.
이날 이후 ‘명확한 제설작업 구간정비’와 ‘재난 상황에 준하는 폭설 시 ’무주군 관내의 컨트롤타워 부재 ‘ 등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해당 기관 간의 긴밀한 협업체계 또한 강력히 요구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무주군
김효종 hjk4569@daum.net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