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우리금융그룹 자회사 우리PE자산운용이 환경부와 손잡고 글로벌 ESS(Energy Storage System) 시장에 투자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투자를 통해 국내 기업은 ESS 기자재와 신기술을 해외 프로젝트에 공급할 기회를 확보했으며, 동시에 글로벌 친환경 인프라 강화와 AI 산업 성장을 뒷받침하게 됐다.
우리PE자산운용은 ‘녹색펀드’를 통해 글로벌 사모펀드 운용사와 공동투자로 미국 ESS선도 개발사의 자금조달에 참여했다. 해당 개발사는 이번 투자를 통해 총 1억5000만 달러(약 2000억원)를 확보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북미 ESS 프로젝트 개발을 확대하고 배터리 저장 기술을 통해 북미 전력망의 안정성과 회복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녹색펀드’는 환경부가 조성하고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가 관리하며 우리은행 등이 민간LP로 출자한 정책펀드다. 이 펀드는 미래 신기술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수출과 수주를 지원해 해외 인프라 투자 과정에서 국내 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거래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투자에서도 우리PE자산운용은 국내 기업들이 ESS 기자재 부품을 수출할 수 있도록 주선했다. 현재 국내 대기업 한 곳과 우수한 신기술을 토대로 유수 글로벌 파트너에 수출 경험이 있는 중소기업이 미국 현지 프로젝트에 ESS 기자재를 공급하기 위한 수출 계약을 협의 중이다.
재생에너지 확대와 AI 기술 고도화로 전력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는 가운데, ESS는 전력망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2030년까지 미국 내 ESS 설치 용량은 현재의 5배 이상 확대될 전망이다. 이는 태양광·풍력 등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저장·공급하려는 수요와 데이터센터·AI·클라우드 산업 등 전력 집약적 산업 성장에 따른 수요 확대가 맞물린 결과다.
환경부와 KIND 관계자는 “우리금융그룹과 이러한 상생 모델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화를 적극 지원하고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겠다”며 “우리은행이 출자에 적극 나선 것처럼 앞으로 민간 투자자의 참여가 늘어난다면 국내 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을 더욱 폭넓게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정부와 협력해 미래 신기술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등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 분야에 대한 투자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