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사이 수도권 친환경 인증 건물 연평균 30% 증가
복합 개발, IT 기업 본사, 데이터센터 등 인증 확산 추세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강남과 판교 등 대형 오피스와 복합시설이 밀집한 지역에서 친환경 건축 인증을 받는 건물이 늘고 있다.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과 함께 친환경 인증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는 모습이다.

24일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알스퀘어'가 2020~2024년 국내 친환경 건축 인증(G-SEED, LEED)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에서 연평균 3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G-SEED(녹색건축 인증)는 국내 유일의 건축물 친환경 성능평가 제도, 미국 그린빌딩협의회(USGBC)가 개발한 녹색 건축인증제도다.
정부는 2020년 '2050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발표 이후 공공 건축물의 G-SEED 인증 의무화와 인증 등급별 세제·금융·용적률 인센티브를 연이어 도입했다. 2022년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개정 이후 민간 신축 건물에서도 고등급 인증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G-SEED 인증 건물은 2020년 4290건에서 2024년 6923건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LEED 인증 건물은 149건에서 237건으로 확대됐다. 두 인증을 동시에 획득한 복수 인증'건물은 2020년 26건에서 2024년 71건으로 173% 뛰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권과 경기 남부(판교·수지·광교)가 전체 G-SEED·LEED 인증 건물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서울 강남권은 900건 이상의 G-SEED 인증과 87건의 LEED 인증(동시 인증 24건)을 기록했다. 경기 남부의 G-SEED 인증은 1200건을 넘겼고 LEED 인증은 64건(동시 인증 16건)이었다. 서울 강북권과 부산, 대전·대구 등 지방 도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증 건수를 나타냈다.
강남과 판교 지역은 글로벌 기업 본사나 자산운용사 입주율이 높아, 외국계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준 충족을 위한 LEED 인증 수요도 함께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지방 도시는 아직 정책 확산과 시장 수요 측면에서 수도권에 비해 다소 뒤처진 상황이다.
친환경 인증은 환경 보호를 넘어 실질적인 투자 가치로 이어질 수 있다. 알스퀘어 관계자는 "고등급 인증 건물은 최첨단 친환경 설계와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갖춰 운영비 절감 효과가 크며, 건물의 내구성이나 지속가능성을 반영해 임대료 프리미엄과 매각 시 높은 평가를 받는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