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0/72159ce4-c573-413a-9cf2-547e9887feba.jpg)
중국계 온라인 쇼핑 플랫폼 테무가 한국시장에 직진출하려는 움직임이 잇따라 감지되고 있다.
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핀둬둬홀딩스(PDD) 자회사인 테무는 지난해 말부터 인사(HR), 총무, 홍보·마케팅, 물류 등 핵심 직군의 한국인 직원 채용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인사 등 일부 직군은 이미 채용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국 내 통합 물류시스템 구축을 준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금까지는 테무와 협업하는 복수의 통관업체에서 한국 내 '라스트마일'(주문한 물품이 고객에게 배송되는 마지막 단계) 물류를 담당해왔다. 현재 테무 상품은 주로 CJ대한통운과 한진이 배송한다.
하지만 앞으로는 본사 차원의 공개입찰을 통해 한국 주요 물류업체와 계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이커머스 시장의 핵심이 된 물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테무의 이러한 움직임을 두고 업계는 한국 사업의 현지화 또는 시장 직진출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보고 있다. 이는 또 다른 중국계 온라인 쇼핑몰 알리익스프레스의 한국 시장 공략 방식과 흡사하기 때문이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지난 2019년 처음 한국어 판매사이트를 열어 영업을 시작했다. 이후 지난 2023년 8월 한국법인인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를 설립하고 사무소 개설했으며, 그해 하반기 한국 직원 채용 등의 현지화 절차를 밟았다.
테무도 지난 2023년 7월 한국어 판매사이트를 개설해 영업을 개시했고, 지난해 2월 한국 법인 '웨일코코리아 유한책임회사'(Whaleco Korea LLC)를 설립했다. 웨일코는 테무가 미국에서 설립·운영하는 법인명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해외 이커머스 시장에서 단순 판매 단계를 넘어 직진출을 꾀하려면 반드시 선행돼야 할 작업이 현지 인력 채용과 물류 현지화"라며 "테무의 움직임을 보면 알리익스프레스의 전철을 그대로 따른다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테무의 한국 직진출 움직임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전 가시화한 것도 주목된다.
사업 기반이 있는 미국에서의 영업 여건이 크게 악화할 것을 예상해 연간 거래액 242조원대의 세계 5위권 이커머스 시장인 한국을 대체국으로 점찍었을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 이커머스 업체 관계자는 "G마켓(지마켓)과 알리익스프레스의 합작법인 설립, 네이버의 별도 쇼핑앱 출시, 쿠팡의 대규모 물류 투자 등에 테무의 직진출까지 더해지면 한국 이커머스 시장의 생존 경쟁은 더 격렬하게 전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