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 등 자국 반도체 업체들이 제조한 인공지능(AI) 칩이 중국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칩 자체에 위치추적 기능을 탑재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디지털·AI 장관회의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마이클 크라치오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은 5일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더 나은 위치 추적을 위해 칩 자체에 어떤 형태의 소프트웨어나 물리적 변화를 가할 수 있을지 논의가 진행 중"이라며, "우리는 이를 이미 'AI 행동 계획'에 명시적으로 포함시켰다"고 밝혔다.
지난달 23일 공개된 AI 행동 계획에는 미국의 AI 기술 선도 지위를 공고히 하기 위한 약 90가지 권고 사항이 담겼다. 이 가운데는 상무부를 비롯한 유관 부처가 ▲ 산업계와 협력해 첨단 AI 칩의 위치 검증 기능을 활용, 우려 국가로의 반입을 차단하고, ▲ 정보기관과 공조해 관련 기술 동향을 상시 모니터링하며 칩의 불법 우회 수출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 대한 최종 사용처(end-use) 감시를 강화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일부 완화하는 조건으로, 엔비디아의 저사양 H20 칩에 대한 수출 제한을 해제하기로 했지만, AI 반도체의 중국 유입 여부에 대한 기술 감시는 계속되고 있다.
지난달 31일, 중국 중앙인터넷정보판공실(CAC)은 '백도어' 문제를 이유로 엔비디아와의 예약 면담(웨탄, 約談)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웨탄은 중국 당국이 기업이나 기관 등을 불러 경고하거나 시정을 요구하는 일종의 구두 경고 방식이다.
인터넷정보판공실은 엔비디아의 중국 판매용 H20 칩에 대한 보안 우려를 제기하며, 백도어 문제와 관련된 자료 제출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엔비디아는 자사 칩에 백도어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공식 반박했다.
크라치오스 실장 역시 이날 인터뷰에서 엔비디아나 AMD 등과 위치추적 기술 관련 논의를 "개인적으로는 나눈 적 없다"고 선을 그었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