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유학생 78% “전북에 살겠다”…현실은 ‘인문계-제조업’의 동상이몽

2025-07-06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추진 중인 전북특별자치도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이 구조적인 ‘미스매치’로 인해 헛바퀴를 돌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유학생들의 지역 정주 의향은 매우 높지만, 이들의 학문적 배경과 경력 목표가 지역 산업의 실제 수요와는 크게 엇갈리고 있어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전면적인 재설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토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지역발전을 위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정주 지원 전략 연구’ 보고서는 전북자치도를 ‘시험대’로 삼아 이 같은 딜레마를 정밀하게 분석했다.

2023년 기준 7,571명의 외국인 유학생이 재학 중인 전북자치도는 청년인구 대비 유학생 비율(2.08%)이 전국 평균(1.42%)을 크게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가 지난 1월 도내 유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한국 내 취업 희망자 중 77.9%가 ‘전북에 정착할 의향이 있다’고 답해 높은 잠재력을 확인했다.

하지만 잠재력은 현실의 벽에 부딪히고 있다는 주장이다.

가장 큰 문제는 ‘학업과 산업의 불일치’로 꼽혔다.

도내 학위과정 유학생의 전공을 분석한 결과, ‘인문사회계열’이 52.1%로 과반을 차지했으나, ‘공학계열’은 19.1%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이들이 희망하는 직종은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3.5%)’, ‘교육 서비스업(16.6%)’ 등 대부분 고숙련 전문직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산업 현장에서 주로 요구하는 제조업 및 생산직 일자리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이다.

보고서에 인용된 한 대학 관계자는 “유학생 취업박람회에 가보면 다 생산직”이라며 유학생들의 눈높이와 실제 일자리 간의 괴리를 지적했다.

정책 전달 체계 역시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점도 드러났다.

인구감소지역 정착을 위한 핵심 정책인 ‘지역특화형 비자 사업’에 대해, 정작 대상이 돼야 할 유학생의 60.5%가 ‘모른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또, 유학생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책은 ‘인턴십 기회 제공’으로 파악, 이는 학업과 현장을 연결하는 실질적인 경력 개발 프로그램이 절실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국토연구원은 이런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유학생 유치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지역 일자리 수급 계획에 기반해 지역 전략산업(농업·탄소·수소 등)과 연계된 유학생을 선별적으로 유치하고 기업과 학생 간의 간극을 메울 실효성 있는 산학 연계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 지자체가 중심이 돼 유학생, 특히 졸업 후 구직 비자(D-10) 상태인 이들을 지역 기업과 직접 연결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장정훈 기자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