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수준 낮을수록 자살률 최대 13배 높아져

2025-01-09

예방 정책 등 사회적 안전망 강화 필요

교육수준이 낮으면 자살률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회경제적 격차가 자살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다.

고려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기명 교수팀은 최근 자살의 계층적 불평등 양상 관련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30~44세 청년 남성 중 최종 학력이 초졸 이하인 사람은 대졸 이상인 사람보다 모든 조사 시기(1995-2020년)에서 자살률이 6.1~13배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초졸 이하인 남성 집단의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015년 288.2, 2020년 251.4였다. 국내 평균 자살률인 27.3의 약 10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자살률을 기록했다고 알려진 캐나다 극지 누나부트 부족의 자살률보다 2배 이상 높다.

연구진은 국내 자살률이 계층 간 격차가 크고, 특히 교육 수준이 낮은 계층에서 높게 나타난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면서 초졸 이하 남성 집단의 높은 자살률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앵거스 디튼의 ‘절망의 죽음’ 이론을 연상시킨다고 봤다. 일상에서 경험하는 절망감이 자살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기명 교수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정신적 고통과 자살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자살 문제를 단순히 개인의 정신 문제로 보지 않고, 사회적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회경제적 불리함이 정신적 고통으로 강하게 이어지지 않도록 사회적 완충 장치가 동반돼야 한다고도 했다.

자살 예방을 위한 정책은 가난, 전세 사기 등 사회적 위기와 정신건강 문제를 분리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다뤄야 한다고 조언했다. 사회적 취약성을 고려해서 접근해야 자살 격차를 줄이고 전반적인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기 교수는 “최근 국내에서 ‘전 국민 마음투자지원사업’ 등 심리적 지원을 확대하고 있지만, 자살 예방을 위해선 사회적 문제와 관련된 행정적 지원이 더 강화돼야 한다”며 “사회적 취약성을 반영한 적극적인 대응이 자살 예방의 핵심으로 사회적 약자층의 입장에서 존중과 배려로 인식할 수 있는 정도에 이르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사회의학분야 국제학술지인 '사회과학과 의학(Social Science and 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