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선거가 종반으로 치달으면서 후보간 선명성 경쟁이 치열하다. 혹독한 불황과 경기침체를 극복하겠다는 다짐을 앞세우면서 이른바 '경제 회복 공약'을 전면배치했다. 경제 공약의 핵심으로 저마다 인공지능(AI) 역량 확대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국가 시스템 혁신을 주창하고 나섰다.
본지가 22일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를 시작으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한국통신사업자협회(KTOA), 한국전파진흥협회(RAPA), 한국정보방송통신대연합(ICT대연합) 같은 ICT분야 대표 단체·기관의 목소리를 직접 전달키로하는 시도는 그래서 의미가 있다. 바로 '21대 대통령에게 ICT인이 바란다'란 시리즈 코너를 통해서다.
주요 후보 캠프가 아무리 현장 목소리를 충실히 공약에 반영하고 담으려 노력했다손 치더라도 실제 현장에서 바라는 수준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후보 선명성 때문에 공약 자체는 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나왔다하더라도 그것을 구체화시킬 재원이나, 로드맵은 현실가능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많다.
이들 기관과 현직 기관장들의 목소리는 그야말로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ICT)산업계 현장의 소리라 할 수 있다. 후보들이 내세운 AI·ICT 관련 대국민 약속이 얼마나 현실에 바탕하고 있고, 실현을 위해선 어떤 것이 필요한지 바로 비교·참고 할수 있는 기준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캠프 참모들이야 선거 사무에 쌓여 놓치더라도 후보자들 자신은 현 ICT분야 최고 전문가들과 소통한다는 생각으로 꼼꼼히 챙겨 보길 권한다. 우리나라 AI·ICT 전략에 관한한 이보다 더 명쾌하고 시급한 제언이 없을 것이다.
차기 정부의 AI·ICT 정책 관련 첫 테이프를 끊은 이창희 KAIT 부회장은 AI데이터센터(DC) 규제와 AI특구 편중 지정 해소, AI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패키지 지원 등을 골자로 제언했다. 앞으로 다른 현직 기관장들도 하나하나 정책 꼭지가 될 아이디어를 펼쳐 놓을 예정이다. 그리고 전체적 정리를 ICT대연합 주관 좌담 형식으로 공개될 것이다.
이번 대선을 국가명운이 걸린 변곡점이라고 한다. AI·ICT 또한 시간을 놓치며 영원히 주도권에서 멀어지는 중차대한 시기다. 모쪼록 각 후보자와 캠프가 우리나라 ICT인들의 요청과 바램을 지혜롭게 습득하고 그것을 집권시 실행에 옮길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ICT가 새정부에서도 경제 회복과 국가 개조의 유일무이한 무기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