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엽성(落葉聲) 찬바람의
김묵수(생몰연대 미상)
낙엽성 찬바람의 기러기 슬피 울 제
석양 강두(江頭)의 고은님 보내오니
석가와 노청(老聽)이 당한들 아니 울고 어이리
-병와가곡집
가을은 시의 계절
낙엽 지는 찬바람 소리 기러기 슬피 울 때 석양 강가에 고운 님 보내오니 석가와 노자가 당한들 아니 울고 어이리.
김묵수는 조선 영조 때의 가객이다. 김수장과 김천택의 후배로 경정산가단(敬亭山歌壇)의 한 사람이었다. 자신이 겪은 이별의 슬픔이 얼마나 컸으면 석가와 노자가 당했다 하더라도 울었으리라고 했다. 슬퍼하는 데 미안하지만 참으로 재미있는 표현이다. 김묵수는 시조 여덟 편을 남겼다.
촉제(蜀帝)의 죽은 혼이 접동새 되어 있어/ 밤마다 슬피 울어 피눈물로 그치느니/ 우리 님 그린 눈물은 어느 때에 그칠꼬
죽어 접동새가 되어 피가 토하도록 슬피 울었다는 촉의 마지막 왕. 그 울음은 피눈물로 그치지만 우리 님을 그리워하는 눈물은 어느 때에 그치겠느냐는 가인의 한이 애절하다.
인간의 정서 가운에 가장 절실한 것은 슬픔이며, 예술성이 뛰어난 문학은 비극이다. 옛 가인은 시의 계절 가을에 어울리는 이별의 노래들을 남겨 주었다.
유자효 시인
![[단독] 김민기 데뷔음반 54년 만에 복각… 금지와 회수, 암거래를 넘어 다시 듣는 ‘아침이슬’의 원음](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3/20251113507733.jpg)



![[오늘의 전시] 바닥에 흩어진 조각을 자신의 감각으로 재배열하다](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51146/art_17630055603168_1352e2.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