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오대호 '천식벨트' 됐다…들끓는 수온에 3조원 재앙 [기후위기, 녹조 습격]

2025-09-03

지난달 13일 미국 북동부 오하이오주(州) 털리도시. 오대호 중 하나인 이리호 서쪽에 도착하자, 녹색 물결이 뙤약볕 아래서 출렁이고 있었다. 흔히 녹조라 불리는 유해 남조류(남세균)인 마이크로시스티스가 창궐하면서 호수 색이 변한 것이다.

뭍 가까이엔 검은색 덩어리가 머리카락처럼 물결을 따라 움직였다. 링비아라는 이름의 남조류 사체였다. 주로 열대·아열대지역에서 번성하지만, 온난화 영향으로 온대지역에도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한다. 부패하면 악취를 풍기고 피부 자극과 호흡기 질환, 동물 폐사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독소를 생성한다.

이리호에서 평생 배를 몰았다는 켄 사빈(75)은 쉰 목소리로 “어릴 때 폐렴을 앓고 회복한 뒤 문제 없이 살았는데 2014년 녹조 대발생 이후 폐질환이 다시 악화됐다”며 “지금까지 집에서 호흡기를 써야 하는 신세가 됐다”고 말했다.

수온 상승으로 녹조 번성 시기 길어져…올해 4월부터 관측

대한민국 4분의 1 크기인 이리호(면적 2만 6720㎢)의 서부는 여름마다 심각한 녹조가 빈번히 일어난다. 수심이 얕은데다 농장과 도시의 각종 오염물질이 하천을 통해 유입되기 때문이다. 2014년에는 수돗물에서 녹조로 인해 생성된 독소가 나와, 인근 주민 50만 명이 수돗물을 쓰지 못하는 사태를 겪었다.

특히,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수온이 점차 오르면서 호수 생태계에는 재앙이 됐다. 유해 조류가 해마다 더 이른 시기에 번성하고, 지속 기간 또한 길어지고 있다. 올해에도 4월부터 조류 독소가 관측되면서 비상이 걸렸다.

“기후변화로 녹조 진화, 공중 보건 취약”…‘천식 벨트’ 연구 중

현장에서 만난 연구자들은 “독소를 내뿜는 남조류가 기후변화와 함께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전까진 마이크로시스티스가 주류였는데, 최근엔 링비아에 이어 돌리코스퍼뮴(구 아나베나)이란 남조류도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한다.

녹조 연구기관 ‘레이크 이리 센터’에서 만난 토머스 브리지먼 털리도대 생태학 교수는 “돌리코스퍼뮴은 더위와 추위에 모두 강해 개화 기간이 길고, 또다른 종류의 독소를 만들어 공중 보건을 취약하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연구자들은 특히 녹조와 천식의 연관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리호를 포함한 오대호 일대는 2010년대 중반 녹조 대발생 이후 ‘오하이호-이리호 천식 벨트’라 불릴 정도로 천식 발병률이 높아졌다.

데이비드 케네디 털리도대 의학 교수는 천식 기저 질환자가 에어로졸화한 조류 독소에 노출됐을 때 폐 염증이 더 심해지는 것으로 보고 주민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아직 공기 중 독소의 인체 위해성은 입증되지 않았는데, 문제는 사람들이 아프다는 것”이라며 “문제를 해결하려면 관련성 규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염과 전쟁에도 녹조 완화 난항 “과학적 연구·대응 중요”

전 세계적으로 유해 조류 번성(HABs) 현상의 빈도와 강도는 증가하는 추세다.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는 200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호수의 유해 조류 번성이 44%가량 늘었다. 유럽과 미국도 오염원 유입을 줄이고는 있지만 온난화 속에서 녹조를 완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에선 유해 조류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연간 22억 달러(3조 657억 원)가량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수질 관리와 정수 처리비, 보건 예산, 수산물 피해 규모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오염과 전쟁을 벌이고 있다. 오하이오 주정부는 하수 처리와 식수 개선을 위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23억 달러(약 3조 1000억 원)를 썼다. 화학비료 등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농업 관행을 바꾸는 데에도 1억 달러(1350억 원)가량을 지원했다.

하지만 아직 유해 조류와 전쟁에서 승기를 잡고 있지는 못하다. 오하이오주는 농지에서 질소와 인 유출을 줄이기 위해 2020년부터 10년간 매해 1억 달러 이상 투입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시작했지만, 아직 이리호 녹조 감소에는 큰 성과가 없는 상황이다.

과학자들은 유해 조류가 건강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에서는 남조류 문제와 관련해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연구 용역비용으로 총 3700만 달러(약 500억원) 이상 지출했다.

조류 독소와 알츠하이머 등과의 연관성을 연구하는 이지영 오하이오주립대 보건대 교수는 “녹조 독소의 인체 위해성은 공기를 통한 흡입이나 독소가 축적된 물고기 또는 농작물 섭취, 또 녹조에 노출된 시기가 얼마나 장기간인지를 종합적으로 봐야 파악할 수 있다”며 “과학적 규명을 위한 데이터가 상당히 많이 쌓여야 한다”고 했다.

※이 기사는 세명대학교 저널리즘 대학원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