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대선 출마 선언 이후 첫 공개 일정으로 국내 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 방문을 선택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퓨리오사AI는 리벨리온과 함께 국내 AI 반도체 시장을 이끌고 있는 곳으로, 최근 글로벌 빅테크 '메타'의 인수·합병(M&A) 제안을 거절하면서 유명세를 치렀다.
이날 이재명 전 대표는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퓨리오사AI 본사를 찾아 현장 간담회를 열 계획이다. 간담회에는 이 전 대표를 비롯해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 윤후덕 캠프 정책본부장과 이해식 비서실장 등이 참석한다. '정부와 기업의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퓨리오사AI는 삼성전자와 미국 반도체 기업 AMD 출신의 백준호 대표가 2017년 설립했다. AI 반도체 설계 단계만 놓고 보면 국내에서 가장 앞서나가고 있는 곳으로 평가된다. 2021년 1세대 AI 반도체인 '워보이'를 선보였으며 지난해 8월에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 TSMC를 통해 차세대 제품인 '레니게이드'를 공개하기도 했다.
레니게이드는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인 ‘H100’과 비교해 성능은 조금 부족하지만 전력 사용량과 공급가격이 낮다는 점에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레니게이드는 특정 대규모언어모델(LLM)의 특성에 맞게 세부 조건을 맞추면 더욱 강력한 성능을 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엔비디아의 GPU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을 받으면서,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퓨리오사AI는 AI 반도체 기술력을 인정받아 성장 과정에서 국내 투자자들로부터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기도 했다. 누적 투자금 규모는 1700억 원 수준으로, DSC인베스트먼트(241520), 한국산업은행, TS인베스트먼트(246690), 퀀텀벤처스코리아, 코리아오메가투자금융, 한국투자파트너스 등이 주요 투자자다. 기업가치는 약 8000억 원을 인정받았다.
퓨리오사AI는 지난해 추가 투자 유치를 위해 국내 투자자들의 문을 두드렸지만 기대 만큼의 성과를 얻지는 못했다. 제품 양산 과정에서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AI 반도체 기업의 특성상 추가 투자금이 절실했지만, 국내 투자자들의 힘만으로는 막대한 자금을 공급하기는 쉽지 않았던 탓이다. 실제로 퓨리오사AI는 지난해 네이버(NAVER(035420)), 크래프톤(259960) 등을 대상으로 약 2000억 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 유치에 나섰지만 실패했다. 기존 투자자들 몇몇이 소액을 베팅하기는 했지만 지속적으로 사업을 끌고 나가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그러던 와중에 올해 초 메타와 퓨리오사AI에 M&A 협상을 진행했던 것이 시장에 알려지면서 큰 주목을 받게 됐다. 메타는 퓨리오사AI를 인수해 자체 AI 데이터센터의 성능을 높이려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메타는 퓨리오사AI에 약 1조 2000억 원을 제시하며 인수를 제안했지만, 백 대표는 이를 거절하고 독자적인 기술 개발을 통한 장기적 성장을 선택했다. 이재명 대표는 최근 대선 출마 기자회견에서 퓨리오사AI를 염두에 두고 "국내 기술 기업이 국내에서 투자를 유치해 성장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번 이 전 대표의 퓨리오사AI 방문은 기술 주권을 지키고, 미래 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상징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정치권이 AI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 기술 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데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된다. 한 벤처투자 업계 관계자는 "이러한 정치권의 퓨리오사AI에 대한 관심이 단순한 보여주기용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국내 AI 반도체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정책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