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5' 병원 전공의 지원율 70%대..."응급의학과 등 필수과 미복귀가 원인"

2025-08-25

우봉식 前 의정연 원장 "복귀자도 해외 진출 고려해"

低수가·高위험, 의료 포퓰리즘으로 해결 방안 요원

대전협 "사법 리스크 해결 안돼 기피 현상도 그대로"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최근 마감된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울성모병원 등 '빅5' 병원 지원율이 70~80%에 이른 반면 지방 병원은 50%대에서 멈췄다. 일명 빅5도 이른바 필수과로 불리는 응급의학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등의 지원율은 저조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의료계는 지난해 촉발된 의정갈등 이전부터 존재하던 구조적 문제가 대규모 복귀로 인해 다시 가시화됐을 뿐이라는 반응이다. 필수의료로 복귀한 전공의도 해외 진출을 고려해 수련을 지속하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25일 뉴스핌 취재에 따르면 서울대병원의 전공의 지원율은 약 70%로 파악됐다. 의료계에 따르면 빅5 병원(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가톨릭중앙의료원,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지원율도 평균 70%대로 추정되고 있다.

반면 지방 병원의 경우 지원율이 50%대에 머무는 것으로 알려졌다. 충북대병원에 따르면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서 레지던트 약 56%, 인턴 약 50%로 집계됐다. 강원대병원도 지원율은 인턴, 레지던트 포함 50% 수준이다.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이라 하더라도 이른바 필수의료라 불리는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산부인과 등의 지원율은 낮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우봉식 전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장은 이날 뉴스핌과 통화에서 "빅5가 지원율 100%에 못 미친다는 것은 필수의료 쿼터(30~40%)가 미달됐다는 뜻일 것"이라 추측하며, "필수의료로 복귀를 했다고 해도 해외 진출을 고려해서 수련을 지속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과거 전공의들은 순수했고 상명하복 문화에 의식화돼 있었지만 나가서 보니 필수의료를 계속하는 것이 손해라고 느꼈을 것"이라며 "필수의료 저수가 문제와 의료사고 사법리스크에 대한 해법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근본적인 개혁을 하려면 지금 같이 퍼주는 의료 포퓰리즘이 아니라 비용을 아끼면서, 투입해야 할 곳에는 투입하는 구조가 필요하다"면서 "그러나 정치인들이 표 떨어지니까 그 부분에 대한 해결이 안 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지난주 수련병원으로 복귀한 정정일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대변인은 "지방, 필수과 기피 현상은 기존에도 있어왔던 문제고 대규모 모집이 있기에 다시 조명받았을 뿐"이라며 "그나마 그 길을 선택했던 소수의 선생님들마저 일방적인 정책 추진 및 1년 반동안의 시간 동안 실망이 커지고 상처를 받아 더 포기하게 된 현실"이라고 밝혔다.

조윤정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장은 "(의정갈등 사직 기간) 군대를 간 전공의들이 있어서 지원율이 떨어진 부분도 있지만, 소아청소년과는 의정갈등 이전에도 35%밖에 안찼다"면서 "산부인과도 출산하다 아이나 산모가 죽으면 손배소가 5억, 10억이라 안 한다"고 지적했다.

조 회장은 "지방 의대가 50% 채웠으면 잘 채운 것"이라며 "병원 운영은 PA시스템을 도입해 어떻게든 되겠지만, 교수진을 수도권 대학이 모두 흡수해 갔기 때문에 전공의 교육은 제대로 안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 대변인은 "지방은 수련환경이 열악한 경우도 많고, 인프라가 수도권에 비해 부족하고 의료분야 뿐만 아니라 수도권 쏠림 현상은 사회 모든 분야에서 보인다"면서 "필수과 기피 현상은 7월에 진행했던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전협이 지난달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수련병원에 복귀할 의사가 없다'고 밝힌 전공의의 72.1%가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등 필수의료과였다.

정 대변인은 "필수과 기피 이유는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이 제일 큰 요인"이라며 "이 또한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피 현상 또한 해결되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19일 대전협 비대위 임시대위원총회는 새로운 대정부 요구안으로 ▲윤석열 정부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재검토를 위한 현장 전문가 중심 협의체 구성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및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 기구 설치를 의결한 바 있다.

calebcao@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