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8명, 내년도 건강보험료율 “인하 또는 동결해야”

2025-08-25

국민 10명 중 8명은 소득 대비 보험료 수준이 부담돼 보험료율 동결 또는 인하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5일 공개한 '2025 국민건강보험 현안 대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본인이나 가계 소득에 비해 건강보험료 수준이 ‘부담된다’는 응답은 77.6%에 달했다. '매우 부담된다'가 25.3%, '다소 부담된다'가 52.3%였다. ‘보통이다’는 응답은 17.6%, ‘부담되지 않는다’는 응답은 4.8%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경총이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8일까지 전국 만 20세 이상 1007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는 ±3.08%포인트다.

2026년도 보험료율 결정과 관련해 ‘인하 또는 동결해야 한다’는 응답이 80.3%에 달했다. '인하해야 한다'가 35.1%, '동결해야 한다'가 45.2%였다. 이는 2020년 조사 이래 최고치다. 보험료율을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은 19.7%였다.

현 8%인 보험료율 법정상한을 높이는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에 대해서는 ‘부정적’ 54.1%, ‘긍정적’ 32.3%로 집계됐다. 인구고령화에 대한 해법으로 보험료율을 높여서라도 재정을 충당해야 한다는 취지의 ‘찬성’ 의견보다 현행 법정상한 내에서 지출 효율화로 대응해야 한다는 취지의 ‘반대’ 의견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시범사업 중인 요양병원 간병비 급여 확대 추진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가 55.7%, ‘부정적’ 평가가 32.0%로 나타났다. ‘매우 긍정적’ 12.8%, ‘다소 긍정적’ 42.9%, ‘다소 부정적’ 22.0%, ‘매우 부정적’ 10.0%, ‘잘 모름’ 12.3%였다.

업무와 관련 없는 상해나 질병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건강보험에서 상병수당을 지급하는 것에는 ‘긍정적’ 51.4%, ‘부정적’ 38.5%로 조사됐다.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처음 과반을 넘어 팬데믹 이후 취약계층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을 통한 상병수당 지급에 대한 긍정 평가는 2021년 36.1%, 2023년 43.8%, 올해 51.4%로 꾸준히 증가했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국민의 의료비 부담 완화를 위한 건강보험 급여 확대가 보험료 부담 증가로 이어지는 지금의 방식은 지속가능할 수 없다”며 “인구·경제 다운사이징 시대에 국민과 국가가 부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재정지출을 효율화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오는 28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내년에 적용할 보험료율을 결정할 예정이다. 최근 5년간 보험료 인상율은 2021년 2.85%, 2022년 1.89%, 2023년 1.49%였고, 2024년과 2025년은 동결된 바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