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혈액암 신약 중 건보 혜택 절반도 안 돼… "13개 중 6개만 급여"

2024-10-08

혈액암 치료제 중 최근 3년간 13종에 대해 건강보험 급여 적용이 검토됐으나 그 중 절반만 급여기준이 설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싼 치료비에 고통 받는 혈액암 환자들을 위한 정부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이주영 개혁신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022년부터 올해까지 심평원 중증(암)질환심의위원회에 혈액암 치료제 13개가 상정됐다. 이 중 최초 심의에서 급여기준이 설정된 사례는 2건뿐이었으며, 나머지 11개 품목 중 현재까지 비급여 상태인 품목은 6개에 이른다. 이 의원은 우리나라가 약가를 참조하고 있는 미국, 영국, 일본 등과 비교해보면 혈액암 치료제에 대한 지원에 큰 차이가 난다고 지적했다. 컬럼비주, 민쥬비주 등 주요 혈액암 치료제 11개 중 우리나라의 경우 5개만 급여 설정이 돼 있지만 미국과 영국은 10개, 일본은 9개의 치료제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혈액암 환자들은 새로운 치료제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는 점이 문제다. 이 의원은 “혈액암 치료제를 비롯해 혈액암 환자들이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후 겪는 이식편대숙주병 등 희귀한 합병증에 대해 치료 접근성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식편대숙주병은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환자들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지만 현행 제도상 암에도 희귀질환에도 해당하지 않아 신약 접근성이 좋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 질환은 혈액암 환자가 조혈모세포를 이식받은 후 수혈된 림프구가 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신체를 공격하여 전신 염증 반응, 장기 손상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식편대숙주병 진료 환자는 지난해 기준 633명이다.

이 의원에 따르면 혈액암 환자 중 현행 치료로는 방법이 없어 새로운 치료제 사용이 필요한 비중이 약 35%에 이른다. 이 경우 환자·의료진 모두 직접 국내에 공급되지 않는 약제를 구하기 위해 한국희귀의약품센터를 통해 수입을 요청하고 있다. 이 의원은 “정부의 혈액암 치료에 대한 인식과 환자들을 위한 지원 환경은 세계 최고 수준의 암병원을 세 군데나 보유한 명성과 어울리지 않는다”며 “약가 참조국 다수가 급여로 지원 중인 약제를 국내에서만 장기간 비급여로 방치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정부에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