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부과 전 차 사자"…현대차 등 車업계 미국서 판촉전

2025-03-30

다음 달 수입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앞두고 일부 미국 소비자들이 차량 구매를 서두르면서, 현대차를 비롯한 업체들이 판촉에 나섰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현대차 측은 딜러들에게 이번 기회를 흘려보내지 말라며 “기록적인 판매 달성에 초점을 둬야 한다”는 내용의 메모를 보냈다.

현대차 측은 메모를 통해 관세에 따른 불확실성을 인정하며 여파를 주시한다면서도, 딜러들에게 현 상황을 판매 기회로 봐야 한다고 주문했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의 현대차 대리점을 방문한 한 고객은 “신차를 보고 있었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으로 당초 계획보다 결정을 앞당겼다”며 “신차 가격이 4000∼1만5000달러(약 588만∼2206만원) 정도 오르면 차를 못 살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자동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도 물량 공급 확대에 나섰다.

한 쉐보레 딜러는 지난 사흘간 GM이 평소 한주에 보내는 물량의 2배인 100대가량의 차량을 보내왔다고 말했다.

이번 관세로 현대차·기아를 비롯해 GM·포드 등이 미국 밖에서 만들어 미국에서 파는 3만달러(약 4400만원) 미만 저가 모델 시장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6일 수입산 자동차와 핵심 부품에 대해 다음 달 초부터 25%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했다.

JP모건체이스는 관세 여파로 미국 자동차 가격이 평균 11% 정도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모빌리티는 재고 등을 감안하면 두 달 정도 뒤면 딜러들이 관세가 적용된 물량을 판매할 것으로 전망했다.

뉴저지주 블룸필드의 한 현대차 대리점 관계자는 뉴욕타임스(NYT) 인터뷰에서 “1∼2달 정도면 관세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당연히 우려된다. 가격 영향은 판매량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