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설비 안전성 배점↑…평가 기준 전면 개편
1차서 갈린 희비, 2차 경쟁 구도 요동
국내 산업 기여도·계통연계 조건도 강화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정부가 제2차 에너지저장장치(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을 앞두고 비가격평가 기준을 대폭 조정했다. 가격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화재·설비 안전성을 강화한 것이 핵심이다. 1차 사업자 선정 당시 배터리 3사 희비가 갈린 만큼, 이번 평가 변화가 2차 경쟁 판도를 뒤흔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모두 1조원 규모의 2차 입찰 공고는 내달 초 진행될 전망이다.
18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전력거래소는 지난 17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제2차 ESS 중앙계약시장 사업자설명회를 열고 평가 기준 개편안과 1·2차 사업의 주요 차이를 업계에 상세히 설명했다.

설명회 자료에 따르면 2차 사업의 가격 평가 비중은 50%로 낮아지고 비가격 평가는 50%로 높아진다. 1차 사업에서 가격 60%, 비가격 40%였던 구조가 균형을 이루는 방식으로 재편되는 것이다.
주요 변화는 화재·설비 안전성 항목 강화다. 비가격평가 내 화재 안전성 점수는 22점에서 25점으로 3점 올랐다. 예방계획과 조치계획 점수는 각각 7점으로 1점씩 줄었지만, '화재에 대한 안전성'은 6점에서 11점으로 5점 증점됐다. ESS 화재 사고 우려가 반복되면서 핵심 위험 요인에 대한 검증 수위를 높인 조치다. 지난 9월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를 의식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는 배터리 제조사들의 기술 경쟁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사업자의 ESS 설비 구성과 안전 인증 수준이 점수에 직결되면서 2차 사업에서 강화된 안전성 평가가 배터리 3사 제품 전략에 어떤 영향을 줄지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아울러 평가 절차도 투명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바뀐다. 2차 사업은 비가격평가를 먼저 실시해 부적합 사업자를 걸러낸 뒤, 외부 전문가가 입회하는 가격평가를 진행한다. 두 평가 점수를 합산해 최종 사업자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계통연계 문제도 개선된다. 1차 사업에서 변전소 여유 베이(공간) 부족 문제가 불거지면서 일부 사업자의 계획이 차질을 빚었다. 전력거래소는 2차 사업에서는 99MW까지의 미래 계통 여건을 사전에 분석해 변전소별 연계 가능 여부를 공고에 태깅 방식으로 표시하겠다고 밝혔다. 입찰 과정에서의 정보 비대칭을 줄여 예측 가능성을 높이려는 조치다.
산업경제기여도 평가 역시 국내 ESS 생태계 기여 여부를 보다 명확하게 반영한다. 국내 배터리 사용 비중, 고용 효과, 유지보수 인력 등이 평가 기준에 포함되며, 이는 배터리 제조 3사의 공급 전략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1차 입찰 당시 배터리 3사의 희비가 극명하게 갈린 점을 주목하고 있다. 지난 7월 결과가 나왔던 총 1조5000억원대 규모의 1차 입찰에서는 삼성SDI가 전체 물량의 80% 이상을 가져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제주와 광양 지역 두 곳에서만 수주에 그쳤고, SK온은 단 한 곳도 따내지 못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난징공장에서 생산한 값싼 LFP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제출했는데, 입찰 심사에서 '국내 산업 기여도' 항목 점수를 상대적으로 낮게 받으며 경쟁에서 밀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물량과 일정도 제시됐다. 육지 ESS 수요는 2026~2028년 매년 500MW, 2029년 600MW 수준이며, 제주는 2026~2028년 매년 40MW가 필요하다. 내년 물량은 상반기 중 개선안과 함께 별도 공지될 예정이다.
syu@newspim.com





!['빅3'도 기술수출 5년 걸려…"바이오 특화 상장제도 보완해야" [K바이오가 달라졌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7/2H0HNGWPVL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