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자의 피아노가 낼 수 있는 최상의 소리를 찾는 것이 ‘피아노 테크니션’의 일입니다. 이를 위해선 일주일 이상 걸리기도 합니다.”
스타인웨이 출신 피아노 명장 얀 키텔(사진)은 최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13일부터 16일까지 삼성문화재단과 피아노조율사협회가 공동 주관한 ‘삼성 피아노 톤 마이스터 심화 과정’의 강사로 방한했다. 스타인웨이에서 약 20년을 일한 그는 10년 전 독일 함부르크에 피아노 공방 ‘클랑마누팍투어’를 공동 설립해 세계 각지의 콘서트홀과 콩쿠르에서 활동해 왔다.
키텔은 자신을 ‘피아노 테크니션’이라고 소개했다. 일반적으로 ‘조율’이라 부르는 작업은 건반과 액션 등 기계적 구조를 손보는 ‘조정’, 음의 높낮이를 맞추는 ‘조율’, 음색을 다듬는 ‘정음’ 등 세 가지 과정을 포함한다. 그는 “음정을 맞추는 일은 보통 1~2시간이면 끝나지만 조정이나 정음 작업은 일주일 이상 걸리는 경우도 많다”며 “피아노가 낼 수 있는 최고의 소리를 찾기 위해서는 이 과정이 가장 정교하고 전문적인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피아노 조율사는 연주자의 ‘숨은 조력자’다. 키텔은 “아무리 연주를 잘하고 처음에 완벽히 조율해놔도 공연 중 5분 만에 음이 흔들리면 그날 연주는 망한 것과 다름없다”며 “공연이 끝날 때까지 음이 변하지 않도록 지탱하는 조율의 견고함이 진정한 실력 차이”라고 말했다.
그가 말하는 조율은 단순히 기계적 조정이 아니라 피아노가 가진 최상의 소리를 찾아내는 일이다. “모든 피아노는 같은 원리로 만들어지지만 나무·펠트·금속 등 재료의 차이, 보관 환경의 온도와 습도, 그리고 연주 이력에 따라 소리가 달라집니다. 이 모든 요소를 고려해 최상의 소리를 이끌어내는 게 조율사의 역할입니다.”
현재 그는 다양한 브랜드의 피아노를 다루고 있지만 여전히 스타인웨이를 최고로 꼽는다. 피아노는 터치, 해머, 현 등을 통해 진동과 톤을 만드는 ‘기계’인데 스타인웨이만큼 물리학적으로 완벽하게 소리를 구현하는 악기는 없다는 것이다. “1884년에 만들어진 스타인웨이 D274 모델은 지금까지 거의 변함이 없는 ‘완성형’입니다. 타건의 힘이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되고 터치에 따라 음색이 미묘하고 풍부하게 달라지죠. 피아니스트들의 압도적인 선택을 받는 이유입니다.” 실제로 전 세계 주요 콘서트홀의 약 97%가 이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크리스티안 짐머만, 다닐 트리포노프, 마르타 아르헤리치 등 세계 정상급 피아니스트들과 협업해 온 그는 “언젠가 임윤찬의 피아노를 조율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반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어려운 곡을 미소를 지으며 연주하는 모습을 보고 ‘음악을 위한 연주자’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제가 생각하는 좋은 피아노와 좋은 연주자는 음악을 위한 수단이지,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선 안 됩니다. 임윤찬은 자신을 통해 음악을 전하는 연주자였습니다.”
삼성문화재단과 피아노조율사협회는 2017년부터 조율사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키텔의 심화 과정에는 국내에서 선발된 21명의 조율사들이 참여해 콘서트용 그랜드 피아노에 대한 조정·정음 전반에 대한 실무 교육을 받았다. 이관헌 조율사협회 부회장은 “무대 뒤에서 묵묵히 연주를 뒷받침하는 조율사의 실력은 공연의 완성도와 직결된다”며 “조율사 교육은 단순한 기술 전수가 아니라 국내 공연의 질을 높이는 인적 인프라 구축 작업이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