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얼마 전 부산의 불법 개 번식장이 적발돼 갇혀있던 개 6백 마리가 구조됐단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그런데 이때 구조된 개들이 전국으로 뿔뿔이 흩어졌다고 하는데, 이민재 기자가 그 이유를 알아봤습니다.}
<기자>
강아지 수십 마리가 불법 번식장의 좁은 철장에 갇혀있습니다.
발밑이 뻥 뚫린 이른바 '뜬장'에서 생활해 다른 개들의 분변을 그대로 맞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열악하고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개 6백 마리가 구조된지, 두 달이 지났습니다.
"한 때 불법 개 번식장이었던 이곳은 지금은 이렇게 텅빈 철장만 남겨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곳에서 구조된 개들은 지금 모두 어디에 있는 걸까요?"
이렇게 구조된 개들은 일반 가정이나 사설 보호소, 또는 지자체 위탁 보호소에 맡겨집니다.
"이번에 구조된 개들은 전국으로 뿔뿔이 흩어졌습니다. 입양되거나 사설 보호소로 갔고, 부산지역 지자체 위탁 보호소에 남은 개는 단 한마리도 없습니다."
위탁 보호소의 열악한 환경 탓에 동물보호단체가 손을 쓴 겁니다.
{전진경/동물보호단체 카라 대표/"(지자체 위탁 보호센터는) 일정기간 보호하면서 잃어버린 보호자하고 다시 만나게 해주는 곳이지, 동물 입양이나 이런건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진행되진 않아요. 그러니까 애들이 기회를 못 가져보고 안락사되는 거죠."}
실제로 부산의 몇몇 지자체 위탁 보호소는 유기동물 예방접종을 하지않기도 합니다.
"이런 열악한 상황 탓에 부산의 위탁 보호소에서 죽는 동물 비율은 61%, 경기도 보호소보다 3배 가까이 높습니다."
{00구청 관계자/"(예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수용능력을 일정 부분 넘어서면 계속해서 무한정으로 보호를 할 수 없지 않습니까."}
{지자체 위탁 동물보호소 관계자/"안락사 약물비, 사료비, 치료비 모든 게 한 마리당 16만 원 안에 해결을 해야 하니까. 직원 월급주기도 부담스럽죠."}
매년 부산에서 발생하는 유실*유기동물만 6천여마리.
동물등록칩 시술을 의무화해 유기를 막고 지자체가 보호소를 직영하는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단 지적입니다.
KNN 이민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