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시장 본격 개막..."국내 산업경쟁력 제고해야"

2025-02-11

디스플레이협회, XR산업 전망 포럼 개최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11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확장현실(XR)산업 전망 포럼'을 열었다.

XR기기는 사용자가 근접거리에서 화면을 보기 때문에 실리콘 기판을 활용하는 엘코스(LCoS), 올레도스(OLEDoS), 레도스(LEDoS) 기반의 고해상도 마이크로 디스플레이가 필수다.

각 디바이스의 특성과 사용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디스플레이가 XR시장의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할 전망이지만, 국내 전후방 공급망은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실리콘 위에 액정을 형성하는 엘코스의 경우 고휘도에 유리하기 때문에 실외 환경에서의 가독성이 중요한 증강현실(AR) 글라스에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라온텍 등 중소기업에서 주력으로 개발하고 있지만 패널은 대만, 일본 등 해외 외주방식으로 제작하고 있다. 국내 공급망 구축이 미흡하고, 광학모듈·부품도 해외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리콘 위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증착하는 올레도스의 경우 빠른 응답속도, 높은 명암비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몰입감 넘치는 콘텐츠 구현이 중요한 XR헤드셋에 사용되고 있다.

지난해 애플 비전프로에 독점 공급한 소니가 처음 제품화에 성공했으며 현재 삼성전자, BOE 등에서 상용화 준비 중에 있다.

실리콘 위에 발광다이오드(LED)를 형성하는 레도스(LEDoS)의 경우, 엘코스(LCoS) 대비 무게와 응답속도, 저전력 등의 강점 때문에 AR기기에 더 적합하다고 평가 되고 있다.

하지만 제조 난이도, 수율, 생산비용 등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많고 특히 LED의 경우 국내 인프라 부재로 관련 공급망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그동안 XR시장은 작년 출시된 애플 비전프로가 가격, 무게, 콘텐츠 부재 등으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에서 인공지능(AI)과 결합된 다양한 형태의 XR기기와 기술들이 공개되며 시장성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삼성전자에서 이마진의 RGB 올레도스 패널이 탑재된 XR헤드셋 '프로젝트 무한' 연내 출시를 예고한 가운데 관련 시장에서의 격전이 예상된다.

이날 강민수 옴디아 수석은 "올해 XR기기용 디스플레이 패널 출하량은 그동안의 XR시장 부진으로 작년과 비슷한 1700만대 수준이지만 디스플레이, 광학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을 감안하면 오는 2030년 9290만대로 올레도스와 레도스를 중심으로 대폭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동욱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부회장은 "CES 2025를 통해서도 확인했듯이 애플, 메타 외 수많은 중국기업들이 가격경쟁과 기술다양화로 XR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 상황으로 국내기업들이 시장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유관산업과의 정보교류와 협력은 필수다"라고 강조했다.

이 부회장은 "후발주자인 국내업계의 시장 확보를 위해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생태계, 콘텐츠 등 XR 생태계의 여러 요소들이 같은 배를 타고 협력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기반 마련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