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아지는 영유아 장애위험 비율… 맞벌이·소도시 가정 인지 늦어

2024-06-29

영유아기 아동 장애위험 비율이 매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위험성 조기 발견이 중요한 가운데 맞벌이 가정이나 중소도시·농촌 지역 가정일수록 인지가 늦는 경향이 발견됐다.

29일 육아정책연구소 ‘장애위험 영유아 육아 실태 및 가족중심 지원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영유아 발달선별 검사 결과 2021년 기준 영유아 180만4968명 중 2.43%인 4만3880명이 ‘심화평가 권고’를 받았다. 2019년 2.2%, 2020년 2.38%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심화평가 권고는 또래 수준과 비교해 발달지연이 의심돼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정밀검사가 필요한 단계이다.

0∼5세 자녀의 발달지연 문제를 가진 부모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자녀의 발달지연이나 문제행동을 처음 알게 된 시기는 ‘19~24개월’이 27.6%로 가장 많았다. 이어 ‘25~35개월’ 24.1%, ‘13~18개월’ 17.7%의 순으로 조사됐다.

상대적으로 맞벌이·대도시 가정보다 중소도시나 농촌 지역 가정의 아이 발달지연 인지 시점이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벌이 가정은 3세 이후 인지 비율이 14.9%지만, 맞벌이 가정은 25.6%로 10% 이상 차이가 났다. 대도시 가정의 경우 3세 이후 인지 비율은 14.8%인 반면 중소도시 가정은 24.4%, 읍면지역 가정은 24% 수준이었다.

부모들은 발달과 행동 치료에 관한 정보를 얻는 데 가장 큰 어려움으로 ‘아동 발달 관련 전문가/전문기관 정보 부족’(25.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느린 아이, 문제행동 아이 육아 지식 정보 부족’ 21.2%, ‘발달상태 점검 정보 부족’ 17.7% 순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이 낮은 집단에서 정부지원과 관련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어려움을 토로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들은 ‘자녀 상황에 맞는 상담 기관에 대한 정보가 있으면 좋겠음’(42.4%)을 가장 필요한 점으로 꼽았다. 필요한 정부 지원으로는 바우처 비용 증액’(24.6%)이 가장 높은 비율로 선택됐다. 이어 ‘바우처 종류 및 사용처 확대’(20.7%), ‘가정 방문 발달지원 전문가 도입’(17.7%) 순이었다.

보고서는 우선 국가 영유아건강검진을 더 내실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검진을 시행하는 의사가 영유아의 발달에 대해 직접 점검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조기 선별을 위해 18개월 이전 검사를 촉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부모들이 자녀 발달과 관련한 전문기관, 전문가, 정부 지원 관련 정보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포털사이트 앱(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한편, 부모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도 제안했다.

끝으로 보고서는 “현행 영유아발달지원바우처는 중위 소득 140% 이하 가정에 지원하고 있지만 언어, 감각 등 발달치료 프로그램은 회당 요구 비용이 상당히 비싸 지원에 한계가 있다”며 바우처 비용 상향과 사용처 확대를 주문했다.

구윤모 기자 iamky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