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파괴를 우려하는 목소리들은 대부분 묵시록적인 경고를 수반한다. 구체적 표현은 조금씩 다르지만 핵심은 비슷하다. ‘이대로 가면 인류는 멸종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저널리스트 데이비드 월러스 웰즈는 2020년 국내에 번역 출간됐던 <2050 거주불능 지구>에서 “일상 자체가 종말을 맞이할 것이다. 일상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될 것이다”라고 썼다. 개선될 가망은 없다고 했다. “혹시 기적적으로 인류가 탄소 배출을 중단하더라도 지금까지 배출해 온 양 때문에 추가적인 기온 상승은 따라올 수밖에 없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마틴스쿨 수석 연구원 해나 리치(42)도 ‘인류에겐 미래가 없다’고 보는 회의론자였다. 그는 환경과학을 공부하던 10~20대를 “역사상 가장 끔찍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는 절망감 속에서 보냈다. 그러다 스웨덴 의사이자 통계학자인 한스 로슬링의 강연을 접하고 달라졌다. 로슬링은 책 <팩트풀니스>와 강연 등을 통해 ‘우리가 오해하는 것과 달리 데이터를 보면 오히려 세상은 점점 더 나아지고 있다’는 주장으로 주목받은 인물이다.
리치의 <나는 이 빌어먹을 지구를 살려보기로 했다>는 환경 파괴 분야의 <팩트풀니스>라 할 만한 책이다. 저자는 대기오염, 기후 변화, 삼림 파괴, 식량 문제, 생물다양성 훼손,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어류남획 등 7개 분야에서 장기 데이터를 제시하면서 인류가 지금의 환경 위기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는 낙관론을 편다.

나는 이 빌어먹을 지구를 살려보기로 했다
해나 리치 지음 | 연아람 옮김 | 부키 | 520쪽 | 2만4000원
대기오염 문제부터 살펴보자. 언론 보도를 통해 인도나 중국을 뒤덮은 스모그 사진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현재의 대기오염이 역사상 최악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저자에 따르면 공기질이 나쁘기로 악명 높은 현재 인도 델리의 공기는 과거 런던보다 깨끗하다. 런던에서는 1952년 12월 끔찍한 스모그 탓에 단 나흘간 무려 1만여명이 사망했다. 대부분 선진국에서는 규제와 기술발전에 힘입어 대기오염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여전히 대기오염으로 인해 사망하는 사람들이 900만명으로 추정되지만 중국 같은 중상위 소득 국가에서도 대기오염이 절정기를 지났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기오염을 줄이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목표라고 저자는 말한다.
현 단계 인류의 가장 큰 불안 요인인 기후위기와 관련해서도 낙관적이다. 저자는 지구 기온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이하로 제한하는 것은 어렵겠지만, 2도 이하로 “억제할 가능성은 여전히 꽤 남아 있다”고 말한다. 근거는 전 세계 국가들의 기후 정책을 모니터링하는 단체 ‘기후 행동 추적(Climate Action Tracker)’의 데이터다. 이 단체에 따르면 현재 각국이 자국의 공약을 성실히 이행한다면 2100년까지 지구 온도는 2.1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각국 정부가 공약을 지키리란 보장은 없고, 정부 이행 능력에 대한 불신은 인류의 기후위기 대응 능력에 대한 회의론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저자에 따르면 세계 각국은 기후위기에 꽤나 적극적으로 대응해왔다. 전 세계의 ‘1인당 탄소 배출량’이 10년 전에 최고점을 지난 뒤 서서히, 그러나 “분명하게 감소 중”이라는 게 그 근거다. 특히 선진국들의 감소폭이 크다. 미국과 독일의 1인당 배출량은 1970년대 이후 3분의 1, 프랑스는 절반 이상, 스웨덴은 3분의 2 감소했다.
저탄소 기술의 가격이 빠른 속도로 저렴해지고 있다는 것도 희망적이다. 2009년 태양광의 전력 단위당 비용은 359달러로 육상 풍력(135달러), 핵(123달러), 석탄(111달러), 천연가스(83달러)보다 월등히 비쌌지만 10년 뒤 2019년에는 40달러로 떨어져 다섯 가지 에너지원 중 가장 저렴해졌다.
묵시론적 경고 수반 ‘위기론’에
환경과학자로서 데이터 제시
최악의 시기 지나간 대기오염
1인당 탄소 배출량도 감소 중
절박한 낙관주의 필요성 강조
책에는 저자가 환경 파괴와 관련해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일축하는 항목들이 여럿 등장한다. 개중에는 ‘종이책 대신 전자책을 읽는다고 지구가 나아지지 않는다’ ‘플라스틱 빨대는 해양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안 된다’ ‘비닐봉지보다 에코백이 지구를 더 망칠 수도 있다’ ‘쓰레기 매립지는 끔찍한 재앙이 아니다’ 등 도발적인 것들이 많다.
저자는 ‘절박한 낙관주의’ 또는 ‘실용적 낙관주의’의 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아무것도 달라질 게 없다는 무력감에 빠져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이미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속도를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세상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많은 변화는 희귀하거나 자극적이거나 신문 1면을 장식할 만한 사건들에서 비롯되지 않는다. 그러한 변화는 수십 년이 지나 세상이 몰라볼 정도로 달라질 때까지 매일, 매년 꾸준하게 일어나는 일들이 축적된 결과다. 우리가 이러 변화를 인지하는 방법은 한 걸음 물러나 장기적인 데이터를 분석하는 길밖에 없다.”
경제 성장과 환경 개선 노력이 얼마든지 양립할 수 있다거나 “이산화탄소 배출이 매우 적어 대기오염을 거의 일으키지 않으며 훨씬 안전하다”고 평가한 부분 등은 여러 환경 전문가들의 반론을 부를 수 있을 듯하다. 가디언 등의 환경 문제 보도를 “불안만 부추기는 뉴스”라고 비판한 것도 성급해 보인다.
가디언의 환경 담당 기자는 지난해 이 책 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