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로 어려움을 겪는 수출 중소기업을 위해 중소벤처기업부가 신속한 정보 제공과 컨설팅 중심 긴급 지원책을 추진한다.
중기부는 31일 최근 미국 철강·알루미늄 및 관련 파생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로 피해를 입고 있는 수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긴급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중기부가 중소기업중앙회 및 관련 협동조합과 지난 17일부터 26일까지 수출기업 600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마련됐다.
조사에 따르면 수출 중소기업들이 가장 크게 느끼는 어려움은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정확한 정보 부족(41.8%)'이었다. 이어 △관세 리스크에 따른 물류비용 상승(38.2%) △수출 시장 다변화 비용 발생(36.5%) 등이 주요 애로사항으로 지목됐다.
조사 참여 기업 42.8%는 실제 수출과 매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고 응답했다. 예상 피해 규모는 평균 수출 피해액 181만5000달러, 매출 피해액은 평균 41억4000만원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정부에 가장 바라는 지원 사항으로는 △관세 관련 정보 제공(51.3%) △물류비용 지원 강화(46.7%) △정책자금 지원(40.5%)이 꼽혔다.
이에 중기부는 전국 15개 지역별 애로신고센터를 통해 수출전문관이 직접 상담과 안내를 진행하고, 긴급 자금이 필요한 기업에는 지방중소벤처기업청 추천 절차를 거쳐 정책우선도 평가 면제·패스트트랙으로 신속한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심층 상담이 필요한 기업에 대해서는 비즈니스지원단 관세 전문가를 통해 관세 관련 심층 컨설팅과 현장 클리닉도 병행한다.
특히 관세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해 중기부는 중기중앙회, 관세청 등과 협력해 미국 관세정책 최신 동향과 지원책을 소개하는 '미 관세부과 대응 중소기업 지원 설명회 및 현장 상담회'를 추진한다. 서울지역을 시작으로, 광주전남, 경기, 충청, 경상 지역에서 순차적으로 개최되며, 온라인으로도 수출지원센터 누리집을 통해 관련 정보와 정책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노용석 중기부 정책실장은 “미국 관세 부과 조치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긴급대응반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맞춤형 지원을 지속해서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