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사우디 방문에 시진핑 올해 첫 순방지로 동남아 선택

2025-04-01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올해 첫 순방지로 동남아시아를 선택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향후 본격적인 중국 포위에 나서기 전에 선제적으로 인접 우방국을 붙들기 위한 차원으로 분석된다.

시진핑 주석이 이달 중순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3개국을 순방할 예정이라고 홍콩 SCMP가 외교 소식통들을 인용해 1일 전했다. 이에 대해 중국은 아직 공식적으로 아무런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매체에 따르면 시 주석은 말레이시아에서는 3일간 머무를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3일간 머무른다면 시 주석이 말레이시아에 상당한 공을 들인다는 해석이 나올 수 있다. 말레이시아는 중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올해 아세안 의장국이기도 하다.

베트남은 아세안 국가 중에서 중국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이며, 일대일로 사업 역시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캄보디아는 동남아의 대표적인 친중 국가다.

이번 동남아 순방은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방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 주석이 올해 첫 순방지로 동남아를 선택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포위 움직임에 선제적인 대응을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포위를 위해 우선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 개선을 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첫 번째 해외 방문지로 사우디아라비아를 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5월 중순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할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 시절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던 러시아와 사우디와의 관계를 복원한 후 동남아를 집중 공략해 중국을 포위할 것으로 관측된다.

시진핑 주석은 인접국인 동남아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셈이다. 베이징 현지 관계자는 "바이든 정부 시절 중국은 아세안 10개국 중 필리핀과의 관계가 악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나머지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가 더욱 필요해진 상황"이라며 "중국으로서는 미국의 포위 전략에 선제적으로 인접국들과의 관계를 강화하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ys1744@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