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95년 1월 나주초토사 민종렬(閔種烈, 1831~1899)이 작성한 「전라도각읍소획동도수효 급장령성명병록성책(全羅道各邑所獲東徒數爻 及將領姓名並錄成冊)」은 전라도 각 군현에서 체포한 동학농민군의 수와 공을 세운 장령의 성명을 적어 정부에 보고한 문서이다. 1894년 12월에는 「전라도 각읍에서 잡은 동도 수효와 빼앗은 물건을 기록한 「전라도각읍소착동도수효 급소획즙물병록성책(全羅道各邑所捉東徒數爻 及所獲汁物幷錄成冊)」을 작성했는데, 두 문서 모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민종렬은 1870년대에서 1890년대에 이르는 시기에 삼남의 주요 고을을 다스린 뛰어난 지방관이었다. 의금부 도사와 형조정랑을 거친 그는 중앙 정계의 배경도 든든하였다. 형조판서와 병조판서, 그리고 한성판윤을 역임한 민종묵(閔種默, 1835~1916)이 동생이었다. 그는 충청도 노성과 현풍현감, 경상도 양산군수와 밀양부사를 거쳐 상주목사를 지낸 다음 전라도 남원부사에 이어서 나주목사를 지낼 때 동학농민혁명을 맞는다.
전봉준 장군이 1차봉기시 전주성에서 물러나 나주목사 민종렬을 찾아가서 담판했지만 결국 나주에 집강소를 설치하지 못한 일화가 널리 알려졌다. 신임 전라감사 김학진이 동학농민군의 압력을 받아 민종렬을 나주목사에서 이직시키려고 했으나 나주의 여론이 강력히 반발해서 실패하였다. 동학농민군이 재봉기하자 나주성을 지켜낸 민종렬은 9월 29일에 호남소모사를 겸임했고, 10월 28일에는 전라도 서부 고을에서 동학농민군 진압을 책임지는 호남초토사를 겸임했다.
일본군 후비보병 제19대대가 남하해서 나주성에 본부를 두고 있을 때 전라도 일대에서 대학살 사건이 일어났다. 호남초토사 민종렬은 대대장 미나미 고시로(南小四郞, 1942~1921) 소좌의 지시를 받았다. 경군 파견부대와 지방군의 지휘권을 장악한 미나미 소좌는 “장흥 강진 부근 전투 이후로는 많은 비도를 죽이는 방침을 취하였다. 필경 이는 소관(小官) 한 사람만의 생각으로 한 것이 아니라, 훗날에 재기할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 다소 살벌하다는 느낌을 살지라도, 그렇게 하라는 (이노우에 가오루)공사와 사령관의 명령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당시 기록을 보면 해남 250명, 강진 320명, 장흥 300명, 나주 230명이 살육되었다. 그리고 함평 무안 영암 광주 능주 담양 순창 운봉 장성 영광 무장에서는 각각 30명에서 50명을 처형했다고 한다. 희생자 수를 대략만 기록할 만큼 마구 학살한 것이다.


△전라도 각 군현의 잔여 학살과 체포 기록
「전라도각읍소착동도수효 급소획즙물병록성책」과 「전라도각읍소획동도수효 급장령성명병록성책」은 일본군이 서울로 돌아간 뒤에 호남초토사 민종렬이 여러 군현과 역(驛) 및 진(鎭)에서 동학농민군 가담자를 체포해서 처분한 내용을 각각 1894년 12월과 1895년 1월에 보고받은 기록이다. 보고한 군현과 역진은 광양 무장 부안 금구 장성 능주 남평 만경 동복 함평 보성 무주 법성진 벽사역 경양역 임자진이다.
당시 동학농민군은 일본군과 경군에 밀려서 흩어진 후에 사방의 피신지를 찾아 숨었다. 이 기록을 보면 일본군이 붙잡은 동학농민군을 압송해 가거나 경군 좌선봉 이규태와 우선봉 이두황이 넘겨받아서 처형한 사실이 나온다. 또 활동 근거지로 압송한 사례가 나온다. 부안에서 잡은 곽덕언은 고부로 보냈고, 무주에서 잡은 송석준 등 3명은 금산으로 보냈다. 거점이었던 군현으로 압송한 것이다.
기세가 꺾인 각 고을의 동학농민군 지도자는 해당 군현의 관아와 민보군이 체포하고 있다. 이른바 거괴나 비괴를 지목해서 붙잡아 들인 것이다. 호남토포사 민종렬은 이들을 엄중히 조사해서 실상을 파악하도록 지시하고 있다.
1894년 12월 기록은 처참한 상황을 전하고 있다. 광주 담양 동복 창평 화순 함평 무안 능주 영광 옥과 무장 남평 고창 나주 등에서 보고한 체포와 처형 보고는 전율할 내용이 나온다. 동복에서만 220명을 체포해서 157명이 포살했다는 것이다. 각 고을의 보고에는 죽은 원인이 장살(杖殺) 포살 효수 옥중자살 압송중사망 등이라고 했다. 때려 죽이고, 쏘아 죽이고, 목 잘라 죽이고, 감옥에서 참지 못해 스스로 죽고, 압송하다가 죽었다는 것이다.
이 밖에 각 고을에서 옥에 가둔 사람이 여러 명에서 수십 명이라고 하는데 이 중 많은 수가 처형되었으나 기록조차 없다. 일본군이 나주에서 떠난 이후의 보고 문서이기 때문에 미나미 소좌나 경군이 보고한 학살자 수에 이들은 포함되지 않는다.


△호남초토사 민종렬이 남긴 문서들
전라도 일대에서 동학농민군을 최대로 추적한 인물이 김학진 이후 내려온 신임감사 이도재였다. 그러나 이도재가 남긴 문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정부에 보고하거나 감영에 보관된 문서는 인멸되었다. 호남초토사 민종렬이 생산한 문서도 대부분 없어졌으나 서목 9건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894년 11월 29일 나주 수성군 몇천 명에 대한 보고 △1895년 1월 13일 동학농민군 진압에 공을 세운 장령 보고 △1895년 1월 24일 호남 각읍에서 동학도 체포의 공로자들에 대한 포상 △1895년 1월 24일 전순무영 별군관 김윤창의 공로 보고 △1895년 2월 14일 나주 우영장이 10개월 동안 수성군을 지휘해서 공로에 대한 포상 △1895년 2월 14일 장흥 최신동 문공진 이득춘 이인환, 광주 백정 치성, 함평 장공삼 김달매, 능주 한달문 등 처형 보고 △1895년 2월 14일 각읍에서 동학농민군 체포에 공을 세운 명단 보고 △1895년 2월 15일 부안 진사 이병로가 군수미 200석을 원납한 성의 보고 △1895년 4월 15일 전현감 손웅설과 양반 현덕종에 대한 공로 포상
신영우 충북대 명예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