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육면적·난각표시·AI 등 현안에 ‘현장 중심 대응’ 강조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대한산란계협회 안두영 회장이 최근 열린 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제2대 회장에 재선임됐다. 올해 9월부터 새로운 3년 임기에 돌입한 안 회장은, 산란계 산업이 마주한 여러 현안에 대해 냉정한 진단과 현실적인 해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란계 사육면적 확대, 난각표시 제도 개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등 생산기반을 흔드는 문제들이 산적한 가운데 안두영 회장으로부터 각종 현안들에 대한 생각을 들어보았다.
안두영 회장은 산란계 마리당 공간 면적 확대는 단순한 ‘시간 벌기’가 아닌 ‘근본 검토’의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가 산란계 마리당 사육면적 확대를 추진하면서 농가 부담이 커졌습니다. 협회는 현실적으로 도입이 어렵다는 점을 강조해왔고, 결국 2년 추가 연장이라는 결론이 났습니다. 이 연장은 단순히 시간을 번 게 아니라, 물가‧환경 등 정부 핵심정책과 생산 현장의 균형점을 다시 검토할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대한산란계협회가 헌법소원까지 제기한 것은 그만큼 산업이 위기에 놓였다는 의미. 안두영 회장은 "이제는 감정적 대립이 아니라,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합리적인 제도를 만드는 방향으로 정책의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가 추진 중인 난각표시제의 변경안에 대해서는 깊은 우려의 뜻을 밝혔다.
현재 정부안은 등급란의 ‘왕·특·대·중·소’를 ‘XXL·XL·L·M·S’로 변경하고, 난각에 표기되는 산란일자·농장번호·사육방식 앞에 ‘품질등급(1+, 1, 2)’을 추가하는 것.
안두영 회장은 이에 대해 “등급란은 전체 계란 유통량의 약 7% 수준에 불과하고, 새로운 표기 방식은 오히려 시장의 혼선을 키울 수 있다”며 “표시제는 소비자 편의를 위해 존재해야지, 혼란을 초래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매년 찾아오는 불청객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는 이번 동절기를 최대 위기로 꼽았다.
지난해부터 미국·일본·유럽뿐 아니라, 열대 지역인 브라질과 동남아까지 AI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
이에 대해 산란계협회는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여 농가에도 ‘스스로의 생존을 위한 방역의식’을 강하게 주문하고 있다.
안 회장은 “산란계 산업은 정책과 현실의 괴리를 좁히는 과정 속에 있다”며 “정부 정책에 대한 협회의 공식 입장을 명확히 제시하되, 농가의 목소리를 실질적으로 전달하는 ‘소통 중심 협회’로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