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연의 보험 경영 솔루션 79
현미향 소장
대한치과경영연구소
![](https://www.dentalarirang.com/news/photo/202502/43703_73475_2941.jpg)
최근 치과업계는 인구감소, 과잉개원, 치과치료비 부담증가 등의 이유로 경쟁심화와 성장 둔화라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개원가에서는 환자 수 감소와 경영 부담 증가로 인해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기요양시설 구강관리는 치과업계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장기요양시설 구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명확하다. 과거에는 보철, 임플란트 등의 치료 수요가 높았지만, 현재는 예방과 유지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부 지원도 변화하고 있다. 또한 치과 치료 패턴 역시 바뀌고 있으며,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환자들이 고가의 치료를 미루거나 최소한의 치료만 받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개원가는 보험진료 중심으로 전환하거나 비급여 진료 확대 전략을 구사하고 있지만, 치료받을 환자 연령층 감소와 인구 감소로 인해 한계를 맞이하고 있다. 더욱이 마케팅 비용과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수익성이 저하되고 있으며, 출산율 감소로 인해 소아·청소년 환자층이 줄어들면서 기존 예방진료 시장도 위축되고 있다. 또한 젊은 층의 경제적 부담 증가로 인해 심미치료(교정, 라미네이트 등) 수요도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오늘은 장기요양시설 구강관리가 치과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첫째는 노인인구증가와 구강관리 수요확대를 들 수 있다.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에서 노인의 구강 건강은 전신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은 30만 명 이상이며, 앞으로 이 숫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장기요양시설 입소자의 구강 건강 관리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할 것이다.
둘째는 기존치과와 차별화된 새로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다.
개원가는 주로 내원 환자를 대상으로 진료를 제공하지만, 장기요양시설 구강관리는 치과가 직접 시설을 방문하는 모델로 운영될 수 있다. 이동이 어려운 노인들에게 구강 건강 관리 및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면,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는 정부지원 및 보험적용확대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최근 정부도 장기요양시설의 구강관리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 중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과 건강보험을 연계한 지원 제도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으며, 방문 진료 및 예방적 구강관리 서비스도 제도권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향후 방문 진료 및 구강관리 서비스가 보험 적용될 경우, 치과에서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기적인 환자확보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장기요양시설의 입소자는 평균적으로 오랜 기간 시설에 머무르며, 구강 건강 관리가 필수적이다. 단발적인 치료가 아니라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시장이므로 꾸준한 매출을 기대할 수 있으며, 시설과 정기적으로 계약을 체결하면 고정적인 환자층을 확보할 수도 있다. 개원가는 장기요양시설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환자층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수익원을 창출하는 전략을 검토해야 한다. 기존의 내원 중심 진료에서 벗어나 치과와 요양시설이 함께하는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앞으로 치과업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결국 “치과 없는 요양시설이 아니라, 치과와 함께하는 요양시설”을 만들어가는 것이 치과업계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