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블스피크(doublespeak)’는 사실을 호도하기 위한 거짓말, 속임수를 의미하는 명사다. 거짓말하다, 속이다 등 동사로도 사용된다. 영국 작가 조지 오웰이 소설 ‘1984’에서 묘사한 ‘뉴스피크(newspeak)’와 ‘이중사고(doublethink)’ 개념이 훗날 ‘더블스피크’라는 말로 확장되어 거짓을 진실처럼 포장하는 말의 힘을 경고하게 됐다.
‘더블스피크’는 그러한 언어의 실제 모습을 추적하고 언어의 악용을 분석하는 데 평생을 바친 미국 언어학자 윌리엄 러츠의 대표작으로 ‘더블스피크’라는 개념이 대중화되는 데 결정적 영향을 끼친 책이다.
특히 ‘더블스피크’는 언어가 어떻게 정치와 권력의 도구가 되어 사회적 기만을 가능하게 하는지 통렬하게 파헤친 고전적 저작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정부의 공식 담화, 기업 광고 문구, 언론 보도와 일상의 언어에 이르기까지 우리 곁의 말들 속에 숨은 기만적 의도를 날카롭게 드러낸다. 러츠는 풍부한 사례를 통해 권력자들이 책임 회피와 여론 조작을 위해 어떻게 말을 조작해 왔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사람을 죽였다”는 사실을 “생명의 불법적 또는 임의적 박탈”이라고 표현하고, 군사 작전의 민간인 희생을 “부수적 피해”로 얼버무리는 식의 완곡 어법이 대표적인 예다. 언뜻 그럴듯해 보이는 이러한 말들이 실은 진실을 희석하고 거짓을 은폐하는 도구임을 저자는 예리하게 지적한다. 그러면서 ‘더블스피크’가 단순한 말장난이나 수사가 아니라 대중의 판단력을 마비시키는 위험한 무기라고 경고한다. 정치 연설의 미사여구, 관료 조직의 난해한 전문 용어, 광고 속 과장된 표현 등 다양한 형태의 더블스피크가 진실을 흐리는 공범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언어가 소통을 강조하는 것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생각을 멈추게 만들고 잘못을 덮어 권력을 공고히 한다는 점도 짚었다. 특히 책은 그동안 우리가 많이 접했던 정치인의 레토릭을 비롯해 광고 문구 등 풍부한 예시를 통해 언어 뒤에 숨어 작동하는 권력의 의도를 낱낱이 해부한다. 이를 통해 우리가 당연하게 여겼던 말들이 어떻게 우리의 시야를 가리고 사고를 지배하는지를 깨닫게 해준다. 2만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