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폰 실러(1759-1805)는 독일인들에게 가장 유명한 극작가로 알려져 있다. 실러는 독일의 대표적인 고전주의 극작가로 대문호인 요한 볼프강 폰 괴테(1749-1832)와 어깨를 겨룰 정도로 유명하다. 실러는 남부 독일의 네카 강변의 마르바흐에서 출생했으며, 괴테는 중부 독일의 마인 강변의 프랑크푸르트에서 출생했다. 그러나 둘은 모두 중부 독일의 바이바르에서 사망했다. 그 둘의 죽음은 독일의 위대한 고전주의의 몰락을 뜻한다. 그것은 이제 독일 낭만주의의 시작을 예고했다.
필자는 독일 유학 시절에 바이마르로 여행을 간 적이 있었다. 우선 아직도 필자의 기억이 남아 있는 것은 괴테와 실러가 서로 나란이 서 있는 동상이다. 정면에서 보면, 동상의 왼쪽이 괴테이고, 동상의 오른쪽이 실러이다. 필자가 동상을 지나 둘의 마지막 거처를 둘러 보았는데, 괴테의 집은 상당히 화려해 보였지만, 실러의 집은 상당히 소박해 보였다. 돌이켜 보면, 필자는 학창시절에 괴테의 작품들을 많이 읽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지만, 실러의 작품들을 많이 읽었던 기억은 거의 없다. 그래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필자는 독일 유학 시절에 괴테보다 오히려 실러를 더 선호하게 되었다. 실러의 『예술가』라는 시의 몇 구절을 보자.
“그리하여 그가 감지하지 못하는 가운데 도달하리라, 더욱 순수한 형식들과 순수한 음들을 통해, 더욱 드높은 고귀함과 더욱 아름다운 미를 통해, 문학의 꽃 사다리 위로 소리 없이 - 마침내 여러 시대에 무르익은 목표에까지, 아직도 한 가지의 행복한 열광과 가장 젊은 세대에서 일어나는 시인의 감흥에 이끌려, 그리고 ― 진리의 팔 안으로 그는 미끄러져 들어가리라.”(독일어 번역)
예술가를 실러처럼 표현했던 시인도 흔하지는 않다. 그 예술가는 실러 자신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보통 실러라고 하면 맨 먼저 떠오르는 작품은 『인간의 미적인 교육에 관한 편지』이다. 이 작품은 상당히 난해하지만, 그 근저에는 단순히 편지글이 아니라, 매우 철학적이고 인간학적인 기초를 지니고 있다. 그와 같은 기초에서 보면 실러의 작품은 모든 속박과 굴레에서부터 벗어나 자유로운 인간의 이상을 추구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인간은 감성만도 이성만도 아니라, 이 양자를 조화롭게 연관된 총체성으로 규정된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인간의 이상을 추동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실러에 의하면 그것은 유희충동이며, 인간만이 유희충동의 의미를 알 수 있다. 실러의 이런 생각이 당시의 상황에서 보면 상당히 새로운 접근이었다. 이때 유희는 그냥 향락하면서 즐거움을 누리는 개념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인간이 스스로 감각을 느끼면서 온몸으로 스스로 실현하고자 하는 충동이다. 이러한 충동은 단순한 맹목적 충동이 아니라, 자신의 행동 자체가 목적이 되는 실질적 토대이다. 바로 이러한 유희야말로 인간이 자유롭다는 것을 분명하게 우리에게 보여 준다.
실러의 작품도 대체로 감성적이다. 『소박문학과 감상문학』에서 실러의 서술에 의하면, 감성적인 작가는 자연을 이념으로 고양해서 현실로부터 이상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이때 작가가 느끼는 감정들에 따라 자신의 작품들의 성격들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현실을 자신의 의지를 통해 비난이 되는 방향으로 작품의 내용이 구성될 때, 작가의 작품은 풍자적이다. 이와 반대로 작가의 작품이 현실을 지성에 의해 유쾌하게 표현되면 해학적이다. 그리고 작가가 자연의 상실을 비관적으로 묘사할 때 비가적으로 되지만, 이와 반대로 작가의 작품이 일상적 삶에서 벗어나 평화로운 상태로 묘사되면 묵가적이게 된다. 실러의 작품은 그리스적인 이상에 의한 조화와 균형을 잘 따르면서 소박하게 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에서 실러는 그의 작품에 관한 문학적 해석에만 몰두하는 경향이 크다. 그러나 그렇게 해서는 실러의 작품이 제대로 과연 이해되었는지는 솔직히 의문이다. 실러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실러의 사상이 무엇인지가 중요하다. 그런데 독문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이에 관해 상당히 무관심하거나 외면하기가 십상이다. 물론 독문학도 그 나름대로 작품을 연구하는 것도 의미가 전혀 없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학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는 까닭은 이해하기 어렵다. 당시에 독일에서는 작가들도 상당히 철학에 조예가 깊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들에도 상당히 관심이 높았다.
이와 반대로, 철학에서 실러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실러의 미학에 너무 주목하다 보니 정작 필요한 작품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해 보인다. 따라서 실러의 작품이든 사상이든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학적 기초 위에서 실러의 작품을 분석해 보면 효율적일 것이다. 실러도 괴테와 마찬가지로 시인·철학자·역사학자·의사라는 다양한 타이틀이 붙는다. 철학의 경우에 실러는 칸트 철학과 괴테의 사위였던 칼 레온하르트 라인홀트 철학 (1757-1823)에 상당히 몰두했다. 특히, 실러는 미학 사상에 있어서 자신의 미학을 칸트처럼 주관적으로 다루지 않고, 객관적으로 다루었다. 이른바 독일 고전주의는 그리스적 이상을 모델로 해서 조화와 균형 그리고 완성도를 중시한다.
필자는 실러의 작품들 중에서 특히 『군도(群盜)』를 좋아한다. 실러는 이 작품에서 막시밀리안 폰 모어 백작의 두 아들의 성격을 완전히 다르게 묘사한다. 우선 형인 카를은 이상주의자로서 봉건적 압제와 불의에 맞서 싸우고 억압받은 사람들을 도와주고 자유를 성취하기 위해 도적이 된다. 이와 반대로 동생인 프란츠는 현실주의자로서 절대주의의 폭군이면서 잔혹한 지배자가 된다. 이 작품에서 실러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어쩔 수 없이 자결로 끝내는 프란츠보다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 책임지는 카를에 강조점을 찍는다. 실러에게는 카를이야말로 진정으로 아름다운 영혼(die schöne Seele)의 소유자이면서 자유로운 인간의 모습이다. 실러가 카를을 통해 말하고 하고자 하는 것은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때에 그 세상이 아름다워질 수 없다는 점이다. 바로 이 점에서 카를은 프란츠와 분명히 다르다. 프란츠는 수단이 어떻든 목적을 달성하면 별문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카를이든 프란츠든 주어진 당시의 세계와 운명에 대해 각자가 다른 방식으로 몸부림쳤다. 카를이 그 몸부림을 현실에 온몸으로 맞서면서 스스로 운명을 개척해 나갔던 반면, 프란츠는 그 몸부림을 상황에 따라 악의적 방법으로 이용했다. 그러나 둘 다 결과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실러가 카를의 쪽에 손을 들어 준 것은 프란츠의 선택을 질책하기 위한 것 때문이 아니다. 오히려 인간이 다른 누구로부터든 버림을 받았을 경우에 그저 살기 위해 프란츠와 같은 악인의 길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길은 비극으로 갈 뿐이다. 실러에게는 카를의 다음과 같은 말이 더 중요할지도 모르겠다.
“물론 제 힘으로는 지난 일을 돌이킬 수 없습니다. 이미 썩어 버린 것을 살려 낼 수는 없고, 제가 무너뜨린 것은 영원히 다시 일어설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저에게는 더렵혀진 법을 다시 바로 잡고 짓밟힌 질서를 다시 일으켜 세울 수 있는 가능성이 남아 있습니다.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질서의 존엄함을 만천하에 내보일 희생이 필요합니다.”(한국어 번역)
이것은 바로 고귀한 인간의 정신이 아니고서 과연 무엇이겠는가! 그러나 실러의 이상적 인간이 오히려 자기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아닐까? 그리고 그와 같은 가능성만으로 과연 실러가 말하는 아름다운 세계가 구현될 수 있는가? 철학적 문제가 실러에게도 우리에게도 여전히 남아 있다.
*필자/권기환
철학박사. 동국대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지겐대 제 1학부(역사-철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Dr. phil.)를 취득했다. 경희대, 경기대, 명지대, 상명대, 강남대, 홍익대 등에서 강의를 했다. 현재는 가천대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관심사는 독일 관념론, 독일 초기 낭만주의, 프랑스 현상학, 해석학, 동서 비교 철학 등이다. 한국 헤겔학회, 한국칸트학회, 한국해석학회, 한국 현상학회(전 정보이사), 서양 근대철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ohann Christoph Friedrich von Schiller (1759-1805) was known as the most famous playwright among Germans. Schiller is a representative German classical playwright who is famous enough to compete with his great writer 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 Schiller was born in Marbach, on the banks of the Necka River in southern Germany, and Goethe was born in Frankfurt, on the banks of the Main River in central Germany. However, both of them died in Weibar, central Germany. Their deaths marked the end of the great German classicism. It now heralded the beginning of German Romanticism.
When I was studying in Germany, I traveled to Weimar. First of all, what I still remember is a statue in which Goethe and Schiller stan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From the front, the left side of the statue is Goethe, and the right side of the statue is Schiller. When I passed the statue and looked around the last residence of the two, Goethe's house looked quite colorful, but Schiller's house looked quite simple. Looking back, I remember reading a lot of Goethe's works in school, but I rarely remember reading a lot of Schiller's works. I don't know if that's why, but when I studied in Germany, I came to prefer Schiller to Goethe. Let's look at some of Schiller's poems called Artists.
"And so he will reach without detection, through purer forms and pure notes, through higher nobility and more beautiful beauty, silently on the flower ladder of literature - until at last the goals ripe for many eras, led by a happy frenzy and inspiration from the youngest generation of poets, and slip into the arms of truth."
Poets who expressed the artist like Schiller are not common. The artist may be Schiller himself. However, when we think of Schiller, the first work that comes to mind is 『Letters on Human Aesthetic Education』. This work is quite difficult, but at the root of it is not just a letter, but it has a very philosophical and anthropological foundation. From such a basis, Schiller's work is composed of the content of pursuing the ideal of a human free from all bonds and restrictions. At this time, humans are defined not only as emotion but also as the totality in which the two are harmoniously related.
Then, what drives such human ideals? According to Schiller, it is a play impulse, and only humans can know the meaning of the play impulse. Schiller's idea was a fairly new approach in the situation at the time. At this time, play is not just a concept of enjoyment while enjoying oneself, but fundamentally an impulse that humans want to realize by themselves while feeling their senses. These impulses are not just blind impulses, but are the practical foundation on which one's actions themselves become the purpose. It is this play that clearly shows us that humans are free.
Schiller's works are also generally emotional. According to Schiller's description in 『Sobak Literature and Sentimental Literature』, an emotional artist tries to advance from reality by elevating nature to an ideology. At this time,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emotions the artist feels.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of the work is composed in a direction that reality is criticized through his will, the artist's work is satirical. On the contrary, the artist's work is humorous when reality is cheerfully expressed by intelligence. And when the artist pessimistically describes the loss of nature, it becomes pessimistic, but on the contrary, when the artist's work is depicted in a peaceful state away from everyday life, it becomes silent. Schiller's work is characterized by being expressed in a simple way, following harmony and balance by Greek ideals.
In Korea, Schiller tends to focus only on literary interpretations of his works. However, it is honestly questionable whether Schiller's work was properly understood. To understand Schiller's work, it is important what Schiller's thoughts are. However, people who study German literature tend to be quite indifferent or neglected about this. Of course, it is not entirely meaningless to study German literature in its own way, bu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reason for taking a negative attitude toward philosophy nevertheless. At that time, in Germany, not only were writers quite well versed in philosophy, but they were also quite interested in other disciplines.
On the contrary, those who study Schiller in philosophy pay too much attention to Schiller's aesthetics and seem to lack understanding of the works that are actually necessary. Therefore, it will be efficient to analyze Schiller's works on an anthropological basis in order to understand whether they are Schiller's works or thoughts. Like Goethe, Schiller has various titles of poet, philosopher, historian, and doctor. In the case of philosophy, Schiller was quite immersed in Kant's philosophy and Karl Leonhard Reinhold's philosophy (1757-1823), Goethe's son-in-law. In particular, Schiller treated his aesthetics objectively in aesthetic thought rather than subjectively like Kant. The so-called German classicism values harmony, balance, and perfection based on Greek ideals.
Among Schiller's works, I particularly like "Kundo (群盜)." In this work, Schill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Count Maximilian von More's two sons completely differently. First of all, the older brother, Karl, is an idealist and becomes a bandit to fight against feudal oppression and injustice, help the oppressed, and achieve freedom. On the contrary, his younger brother, Franz, as a realist, becomes a tyrant and brutal ruler of absolutism. In this work, Schiller places an emphasis on Karl, who takes responsibility for his actions, rather than Franz, who is forced to end the responsibility for his actions by himself. For Schiller, Karl is the owner of a truly beautiful soul (die schöne Seele) and a free human being. What Schiller is trying to say through Karl is that the world cannot be beautiful when the end justifies the means. Karl is clearly different from Franz in this respect. Franz doesn't think it's a big deal if he achieves his goal no matter what.
Whether it was Karl or Franz, each struggled in a different way about the world and fate of the given time. Franz used the struggle in a malicious way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ile Karl confronted reality with his whole body and pioneered his own destiny. However, neither was successful as a result. Schiller sided with Karl not to reprimand Franz for his choice. Rather, if a human being is abandoned by anyone else, he may choose the path of a villain like Franz just to live. However, that path only leads to tragedy. Karl's words may be more important to Schiller.
"Of course, I cannot take it back on my own. I cannot bring what has already been rotted to life, and what I have broken to my feet will never rise again. But I still have the possibility to rectify the tainted laws and re-establish the crushed order. I need sacrifices to show the dignity of an order that no one can overcome."
What would this be if it was not the noble human spirit! However, isn't Schiller's ideal human being rather forcing self-sacrifice? And can the beautiful world Schiller says can be realized only with such possibility? Philosophical problems still remain for Schiller and for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