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시아 최고의 암벽 정원, 타크이 부스탄(Taq-i Bustan)
사산조 예술의 전형: 광륜(光輪), 연주문, 생명수
동서 문명 교류의 역사적 증거
고구려 무용총, 소그드 석당의 수렵도와 동일 계열
【전문】
최근 중동 전쟁이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로 번지고 있어 현재는 탐방이 불가한 타크이 부스탄(Taq-i Bustan)은 페르시아 사산(Sassan) 왕조(AD 226-651) 때의 유서 깊은 암벽 유적이다. 페르시아어로 '타크(taq)'는 아치를, '부스탄(Bustan)'은 정원을 의미한다. 타크이 부스탄에 새겨진 서임식 부조, 진주의 연주문, 왕권 상징의 광륜, 생명수 그리고 수렵도는 사산 예술의 정수를 보여준다. 특히 수렵도는 고구려 집안 무용총(舞踊塚)에 보이는 벽화와 동일 계열이다. 이는 동아시아와 페르시아 문화 간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시인데, 필자가 직접 촬영한 드론 영상 자료 등으로 두 차례에 걸쳐 소개한다.
△ 타크이 부스탄(Taq-i Bustan)은 어떤 유적?
이란 서부 산악지대인 케르만샤(Kermanshah)에 자리잡고 있는 타크이 부스탄 유적은 암산 단애의 두 곳에 아치형 대암벽과 소암벽을 조성하고, 그 동쪽에 개방형 구조를 조각했다. 좌측의 대암벽은 로마 제국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사산 왕조 역사상 최대의 영토를 보유했던 호스로 2세(Khosrow II)의 서임식을 묘사한 것이다. 소암벽에는 샤푸르(Shapur) 2세와 그의 아들 샤푸르 3세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우측 바깥의 개방형 구조는 아르다시르(Ardashir) 2세의 대관식을 묘사하고 있다.
△ 암벽 외곽의 문양 : 광륜, 연주문, 생명수
먼저 대암벽을 살펴보자. 대암벽 외곽의 아치 상단에는 다섯 개의 피라미드형 장식이 세워져 있으며, 하단에는 중앙의 초승달을 중심으로 두 천사가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이 날개 달린 천사들은 왼손에 은기를 들고 있고, 오른손에는 조로아스터교 신화에 나오는 두 줄의 연주문으로 구성된 광륜을 들고 있다. 이 천사는 그리스-로마 스타일의 승리의 여신 니케(Nike)를 표현한 것으로, 광륜은 왕권을 상징한다. 왕의 고리에 새겨진 연주문은 '쿠바르나(khvarnah)'라고 불렸던 진주에서 유래했다. 진주는 이란 고원에서 탄생한 조로아스터교의 광명을 상징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왕권 신수의 개념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한편 하단의 기둥을 표현한 직사각형 내에는 식물 문양으로 장식되어 있는데, 이는 신성한 나무 즉 생명수를 표현한 것이다. 생명수의 잔잔한 잎의 형태는 그리스, 로마 그리고 인도의 스타일이 혼합된 것으로 보인다.
△ 암벽 내부의 조각 : 서임식 부조와 기마상
내측 후벽 좌우 하단에는 주두 장식이 있는 기둥을 세우고, 중간에 지붕과 같은 선반을 만들어 상하로 구분하였다. 상단에는 호스로 2세의 제왕 서임식 부조를, 하단에는 제왕의 기마상을, 좌우 벽에는 수렵도를 각각 조각하였다.
후벽 상단 우측에 성벽관을 쓰고 있는 인물은 조로아스터교의 신인 아후라 마즈다(Ahura Mazda)이다. 왼손에 검을 쥐고 있는 인물이 바로 페르시아 제왕 호스로 2세(Khosrow II)이고, 좌측은 아나히타(Anahita) 여신이다. 아후라 마즈다는 원래 두 손에 조로아스터교의 성물을 들고 있었으나, 현재는 훼손되어 있다. 아나히타는 왼손에 주전자를 들고 있으며, 그 주전자로부터 성수가 흐르고 있다.
두 신은 각각 리본이 달린, 왕권을 상징하는 고리를 왕에게 수여하고 있다. 왕은 다수의 대형 진주로 장식한 화려한 복식을 입고 있으며, 왼손으로는 검을 쥐고 있다. 오른손은 아후라 마즈다로부터 리본이 달린 환을 받고 있다. 왕이 쓰고 있는 왕관은 좌우에 새 날개를 붙이고 초승달 문양으로 장식되어 있다.
후벽 하단의 기마상은 머리 부분을 원형의 광배와 리본으로 장식하고 있고, 갑옷 하단 복식에는 페르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인 시무르그(Simurgh)와 화려한 문양이 새겨져 있다. 시무르그는 사산조의 은기나 직물 등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개의 머리, 사자의 다리, 독수리의 날개와 공작의 꼬리로 합성되어 있고 우주를 상징한다. 한편 시무르그는 철갑 원주 안에 그려져 있는데, 바깥 원주에는 연주문이 새겨져 있지 않다. 이 기마상은 위대한 정복자 호스로 2세가 자신의 애마 샤브디즈(Shabdiz)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추정된다. 또한 기마 인물은 당시 페르시아 중무장 기병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 소암벽 내부와 우측 외부 개방형 부조
소암벽에는 샤푸르(Shapur) 2세와 그의 아들 샤푸르 3세의 모습이 새겨져 있으며, 우측 바깥의 개방형 부조는 아르다시르 2세의 대관식 장면이다.
△ 왕실 사냥터와 악사들의 공연
사냥은 페르시아 왕들이 가장 즐기는 활동 중 하나였다. 이 때문에 사산조 왕실 벽화에는 수렵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늪지에 설치된 장막은 왕실 사냥을 위해 만든 일종의 임시 경기장으로 볼 수 있다. 우측 벽 수렵도는 맨 위에 말을 탄 왕이 단상의 여악사들의 연주를 들으며 일산(日傘)을 든 시종과 함께 사냥터로 향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중간 부분에서는 말을 탄 왕이 질주하면서 사슴 무리를 활로 사냥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아래 부분은 수렵을 끝낸 왕이 좌측 하단의 장막문을 향해 귀환하는 장면이다. 이 장면에서 왕은 머리에 후광을 띠고 활을 편안히 내려놓고 서 있는데, 이는 사냥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신호다. 결론적으로, 타크이 부스탄 암벽 부조는 사산조 페르시아의 예술적 걸작일 뿐만 아니라, 장대한 유라시아 실크로드의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특히 수렵도는 중국 집안시 고구려 무용총(舞踊塚) 벽화와 소그드인 석관상의 수렵도와도 긴밀한 관련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회에 상세히 소개한다.
전홍철 교수(우석대 경영학부, 예술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