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변 소음을 차단하는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이 청각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17일(현지시간) 영국 BBC는 “최근 청각 이상을 호소하는 젊은 사람들이 급증했다”며 “전문가들은 이어폰에 내장된 주요 기능인 '노이즈 캔슬링'을 원인 중 하나로 꼽았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영국 런던의 25세 여성 소피의 사례를 소개했다. 영국의 조용한 시골 마을에서 자란 소피는 몇 년 전 대학 진학으로 런던으로 온 뒤 청력에 이상을 감지했다.
특정 소리를 듣고도 소리가 나는 방향을 찾기 어려웠고, 강의실에서 수업을 듣는 것도 어려웠다. 모든 단어가 횡설수설하는 말처럼 들려 강의를 이해하려면 엄청난 노력이 필요했다. 일상생활에서도 소리 대부분이 소음으로 느껴져 어려움을 겪었다.
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받은 결과 청력에는 문제가 없으나, 뇌가 소리와 말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청각정보처리장애(APD) 진단을 받았다
청각정보처리장애는 중추 청각정보처리장애(CAPD)라고도 불리며, 귀에서 소리를 정상적으로 감지함에도 불구하고 뇌가 이 소리 정보를 올바르게 해석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전문가들은 청각정보처리장애가 젊은 층 사이에서 늘고 있으며, 이는 주변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인 노이즈 캔슬링이 탑재된 무선 이어폰의 영향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에어팟, 갤럭시 버즈 등 이어폰의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음악을 듣는 동안 주변 소리를 차단해 고주파나 큰 소리가 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귀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동차 경적 소리처럼 일상의 소리를 차단해 뇌가 소음을 걸러내는 것을 '잊어버릴'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클레어 벤튼 영국 청각학회 부회장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듣고 싶은 것만 듣게 해 뇌가 소음을 걸러내려는 노력이 필요없는 '거짓된' 환경을 만든다”고 설명했다.
이어 “뇌가 가진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듣기 능력'은 10대 후반이 돼야 비로소 발달이 완료되는데 10대 후반까지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사용해 거짓된 환경에 있다면, 말과 소음을 처리하는 능력의 발달이 늦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임페리얼 칼리지 헬스케어 NHS 트러스트'의 청각학 임상책임자인 르네 알메이다는 “청각과 청취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청취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청각정보처리장애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영국의 청각 전문가인 안젤라 알렉산더 박사는 “16세 미만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청각정보처리장애 클리닉에 검사를 받으려는 수요가 크게 늘었다”며 “어린이의 청각 처리 능력에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이 미치는 영향을 더 많이 연구할 필요가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뇌의 청취 기능에 생기는 문제를 개선하려면 이어폰 사용 시간을 줄이고 외부 소음을 들을 수 있는 '주변음 허용' 모드를 사용하는 게 좋다”며 귀를 완전히 막지 않는 이어폰이나 헤드폰 착용을 권유했다.
이원지 기자 news21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