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상반기 16,6조 영업이익에 법인세 2조7천억원 냈다

2025-09-15

(조세금융신문=김종태 기자) 올해 상반기 16조6천억원대로 국내 1위 영업이익을 달성한 SK하이닉스가 같은 기간 국내에서 2조7천억원 넘는 법인세를 납부하며 납세 실적으로도 1위에 올랐다.

2위 기아가 9천억원대인 데 비해 3배가 넘는 수준으로, 인공지능(AI) 밸류체인의 핵심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 선점의 효과가 톡톡히 나타났다.

16일 재계에서 국내 시가총액 상위 50개 기업 반기보고서를 개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SK하이닉스의 상반기 법인세 납부액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2조7천717억원이었다.

연결 기준으로 공시되는 법인세에는 자회사가 해외에 납부한 세금도 포함되는 만큼 국내 납부 세액을 추산하기 위해 별도 기준 공시를 기준으로 했다.

SK하이닉스는 별도 기준 상반기 매출 35조4천948억원, 영업익 15조2천124억원을 기록하는 등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다.

연결 기준으로도 16조6천534억원의 영업익을 달성, 11조3천613억원을 기록한 2위 삼성전자를 큰 폭으로 제쳤다.

상반기 SK하이닉스 다음으로 법인세를 많이 낸 기업은 기아(9천89억원), 현대차(8천222억원), SK㈜(6천6억원), 한국전력(5천81억원) 등 순이었다.

애초 한국은행으로 알려졌던 지난해 법인세 납부 1위도 실제로는 SK하이닉스였던 것으로 이번에 확인됐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별도 기준 21조3천314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두고, 3조6천307억원을 법인세로 납부했다.

지난해 법인세 납부 상위 5개사는 SK하이닉스에 이어 현대차(3조433억원), 한국은행(2조5천782억원), 기아(2조825억원), 현대모비스(5천351억원)이었다.

한국은행이 아니라 SK하이닉스가 지난해 법인세 1위로 파악됨으로써 강력한 반도체 수출 경쟁력이 여전히 우리나라 산업과 세수를 지지하고 있음을 재확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 조사 결과 SK하이닉스는 올해 2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39.5%의 점유율로 1위를 기록했다. 1분기 처음으로 삼성전자를 제친 데 이어 2분기 격차를 더욱 벌렸다.

상반기 국내 반도체 수출액이 733억1천만달러로 역대 최고액을 기록한 데도 SK하이닉스의 기여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성과의 배경으로는 최태원 SK 회장의 대규모 투자 결단과 미래를 보고 HBM 개발에 나선 과감한 의사 결정이 있었다고 재계는 평가했다.

최 회장은 2012년 경영난에 시달리던 하이닉스를 인수한 뒤 높은 비용에도 불구하고 차세대 기술 개발을 위해 HBM 시장을 개척한 바 있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 최근 한 포럼에서 "SK가 단기 성과에 매몰되지 않고 과감하게 미래 투자를 이어간 덕에 오늘날의 HBM 신화가 가능했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