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 내년 낙관론에 초점
MI400과 헬리오스에 기대
2분기 실적 자체는 '양호'
주가는 시간 외 6%대 하락
이 기사는 8월 6일 오전 11시23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내년 강조 기색
AMD 경영진은 이날 결산설명회에서 화제를 내년 전망으로 돌리려는 인상을 풍겼다.
각각 모두 내년 출시 예정인 차세대 AI 연산용 GPU 제품군인 MI400와 랙 시스템인 헬리오스(MI400 제품군 GPU 72개 탑재)를 강조하면서다.

수 CEO는 MI350 관련 질문을 받을 때마다 "MI400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이 매우 높다"고 언급하거나 "헬리오스가 세계 최고 성능의 AI 시스템이 될 것"이라는 이야기를 붙였다.
결산설명회를 지켜본 일부 전문가는 AMD의 'AI 스토리' 본격화는 내년이 돼서야 실현된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경영진으로부터 현재 제품인 MI350의 올해 성과보다 차세대 제품의 내년 기회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인상을 받았다는 점을 그 근거로 둔다.
내년 MI400이나 헬리오스에 대한 기대감은 상당하다. 올해 6월 오픈AI의 샘 울트먼 최고영영자(CEO)는 MI400 사양에 대해 "처음에는 말도 안 된다고 생각했는데 놀라운 발전이 될 것"이라고 했다.
당장의 MI350 제품군 매출 정보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내년 낙관론에 화제를 집중시키는 전략은 투자자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줄 가능성이 있다.
다만 AMD로서는 합리적인 선택일 수 있다. 실행 가능한 목표에 집중하고 단기적인 사안보다는 내년 MI400과 헬리오스를 통한 근본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는 게 옳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있다.
◆"실적 자체는 양호"
이날 발표된 AMD의 2분기 실적 자체는 양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32% 증가한 76억달러로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컨센서스 74억달러를 웃돌았다. 다만 주당순이익은 48센트로 컨센서스 49센트를 소폭 하회했다. 전년동기 대비 30% 감소다.
투자자들의 초점이 된 올해 3분기 매출액 가이던스는 84억~90억달러로 제시돼 컨센서스 83억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긍정적인 가이던스 발표에도 불구하고 AMD의 주가는 정규장 마감 후 거래에서 6% 넘게 떨어졌다.
일각에서는 종전까지 AMD 주가의 연초 이후 상승폭이 44%를 기록하는 등 시세가 크게 상승해 투자자들이 부담을 느끼고 차익실현 매물이 내놨기 때문으로 설명했다.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 대중국 판매액 예측을 보류한 점도 언급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올해 4월 대중국 AI 연산용 칩 수출을 금지했다가 지난달 수출 라이선스 검토를 재개하겠다며 방침을 바꿨다.
수 CEO는 중국용 AI 연산 GPU인 MI308(단일 제품)에 대해 "[수출 허가] 라이선스가 여전히 검토 중이므로 3분기 매출액 전망에 MI308을 포함하지 않았다"고 했다.
AMD는 2분기 대중국 수출 규제 조치로 인해 8억달러의 재고 평가손실 및 관련 비용이 발생했다고 했다.
◆"조속한 中 재진입 기대"
이에 대해 코디애크리의 코디에이커 반도체 애널리스트는 "트럼프 행정부의 지침 완화에 따라 AMD의 조속한 중국 재진입이 예상된다"고 했다.
그는 "지난 2개 분기 동안 약 15억달러의 손실이 발생했는데 빠르게 회복될 것"이라며 "2분기에서 빠진 8억달러, 3분기 당초 예상분 4억달러을 더하면 10억달러 [손익] 개선 효과가 있다"고 했다.
애크리 애널리스트는 AI 시장에서 AMD의 성장 여력은 한참 남았다고 평가했다.
하이퍼스케일러 입장에서 자신들이 직접 제작하는 AISC(특수목적반도체)나 고가의 엔비디아 칩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관점에서다.
그는 MI350에 대해서도 "엔비디와의 [성능] 격차를 실제로 좁혔고 MI400은 일부 측면에서 성능상 우위를 확보했"고 했다. 또 2분기 실적에 대해서는 '강력한 수치'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헀다.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