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종의 중개 상담료인 임장 기본보수제를 도입해 부동산 중개 서비스의 질을 강화하겠습니다.”
김종호(사진)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신임 협회장은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취임 간담회에서 “임장 안내는 중개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업무임에도 불구하고 계약이 이뤄지지 않으면 어떤 보수도 받지 못하는 구조”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는 최근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임장 크루(소모임)’를 모아 현장을 방문하는 문화를 겨냥한 대응책이다. 김 협회장은 “중개사가 의뢰를 받아 매물을 소개하지만, 오히려 비용은 인원을 모집한 업체에 돌아가고 있다”며 “임장 기본보수제를 받고 계약이 이뤄지면 중개보수에서 이를 차감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협회장은 지난해 말 회원 직선제를 통해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14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지난달 말 전국 개업 공인중개사는 총 11만 1632명으로, 이 중 90% 이상이 공인중개사협회 회원으로 가입돼있다.
김 협회장은 부동산 거래 절벽에 따른 중개사들의 휴·폐업 증가를 막기 위해 거래세 인하와 실거주 대상 주택담보대출 규제 등을 완화해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폐업하거나 휴업한 공인중개사는 3175명으로 개업(455명)보다 많았다. 김 협회장은 “자격증 과잉 배출과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등 정책 불확실성으로 업황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며 “신생아 등 특례대출을 확대해 실거주 대상자들의 주택 구매를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직거래 피해와 전세 사기 등을 막기 위해 법정 단체화를 적극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가장 많은 회원 수를 보유하고 있는 전문자격사 단체임에도 불구하고 유일하게 법정 단체로 지정되지 않아 자정 기능을 상실한 상태”라며 “협회 의무가입과 감시 기능을 갖추면 일부 중개사들의 일탈 행위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협회는 2022년부터 법정 단체화를 추진 중이지만 기존 중개사들의 독과점이 우려된다며 반대하는 프롭테크 업계와 갈등을 빚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