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정부가 세계적 관광지 발리를 지역 금융 중심지로 키우는 방안을 추진한다. 글로벌 대형 금융 기관들을 유치해 침체한 국가 경제에 새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구상이다.
13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발리를 금융 허브로 조성하는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국제금융센터와 인도 구자라트 국제금융테크시티가 벤치마크 대상이다.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도 관련 계획을 승인한 것으로 알려지며, 대통령의 비공식 자문역을 맡은 레이 달리오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 창업자 역시 이 프로젝트를 지지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블룸버그는 “정부가 연말 의회 표결을 목표로 현재 초안을 마련 중”이라면서 “‘인도네시아 금융도시’ 구상은 아직 초기 단계로 이후 변경될 조정될 수도 있다”고 했다.
정부는 발리를 금융 허브로 발전시키기 위해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 최대 경제 규모를 자랑하지만 지나친 관료주의와 복잡한 행정 절차가 기업 활동을 위축시킨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정부는 기존과 다른 법적 체계를 금융지구에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며 기업 친화적인 싱가포르의 시스템을 참고 모델로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리 금융 허브 구상은 경제 성장 동력 회복을 위한 전략적 시도로 평가된다. 정부는 2029년까지 경제성장률 8%를 목표로 삼고 있으다. 이를 위해 앞으로 4년간 약 7840억 달러 규모의 직접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될지는 의문이라는 지적도 많다. 인기 관광지인 발리의 심각한 과밀화 문제가 금융 중심지로서 키우겠다는 구상과 충돌할 수 있다는 시각이다.
인근 국가들과의 경쟁 구도도 만만치 않다. 필리핀은 투자유치법 제정을 통해 해외 자본을 끌어들이고 있으며 베트남은 호찌민시에 국제금융센터 설립 계획을 추진 중이다.
블룸버그는 “프로젝트 지지자들은 발리의 국제적인 매력이 금융 회사에 매력적으로 다가갈 것으로 보고 있으며 과밀 현상은 관리 가능하다고 평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