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부, 이번엔 양자컴 기업들 지분 인수…1000만달러씩 투자 논의

2025-10-23

[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정부 자금 지원을 조건으로 몇몇 양자 컴퓨팅 기업 지분을 인수하는 방안을 기업들과 협상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현지시간 22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와 이러한 논의를 하고 있는 해당 기업들은 아이온큐(종목코드: IONQ)와 리게티 컴퓨팅(RGTI), D-웨이버 퀀텀(QBTS) 등이다. 퀀텀 컴퓨팅과 아톰 컴퓨팅도 유사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WSJ는 이번 협의는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 경쟁력의 핵심 분야로 꼽는 산업 섹터에 대한 직접 개입을 확대하는 신호라고 했다.

앞서 지난 8월 트럼프 행정부는 연방정부 보조금(90억달러) 지원 대가로 인텔 지분 10%를 확보했다. 미국 국방부도 희토류 생산업체 MP머티리얼즈 지분을 인수해 최대 주주로 올라섰다.

소식통은 미국 상무부와 양자 컴퓨팅 기업들이 협의중인 지원금 규모와 그에 상응하는 지분은 최소 1000만달러 수준이라고 전했다.

상무부의 폴 다바르 부장관이 이번 협의를 주도하고 있다. 다만 그가 설립했던 보어 퀀텀 테크놀로지는 이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고 당국은 밝혔다.

정부 자금 지원 및 지분 인수 대상이 최종 확정되면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 개편한 '칩스법(Chips Act)' 연구개발 사무국 예산에서 자금이 지원될 예정이다.

다만 아직 논의가 마무리 되지 않아 세부안은 변경될 수 있다. 정부가 양자컴 기업들의 지분을 획득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워런트 및 지적재산권 라이선스, 로열티 및 매출(일부) 공유 등의 방식이 동원될 수도 있다.

그간 트럼프 대통령과 러트닉 장관은 "정부가 국민 세금으로 재정적 지원과 신뢰를 제공하는 만큼 기업 성장에 따른 이익에도 참여해야 한다(이익 공유)"는 방침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이번 양자 컴퓨팅 분야 지원은 백악관이 해당 산업을 국가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육성하기 시작했다는 첫 신호로 평가된다.

양자컴퓨터는 기존 슈퍼컴퓨터로는 수천 년이 걸리는 연산을 짧은 시간에 수행할 수 있다. 신약 개발과 신소재 연구, 산업 효율화 등에 혁신을 가져올 차세대 핵심 기술로 꼽힌다.

IBM과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한 주요 빅테크 기업들은 물론이고 중국도 양자 컴퓨팅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올 들어 양자 컴퓨팅 관련 기업들의 주가 역시 랠리를 구가했다.

양자 컴퓨팅 경쟁을 선도하는 구글의 경우 간밤(현지시간 22일) 진일보한 성취를 거뒀다고 공개하기도 했다. 기존 슈퍼컴퓨터로는 풀 수 없는 문제를 양자 알고리즘으로 해결하는 '양자 우위(Quantum Advantage)'를 세계 최초로 검증 가능한 형태로 구현했다고 구글은 밝혔다.

☞ 구글, 세계 최초 '검증 가능한 양자 우위' 달성…AI·신약 개발 새 지평

osy75@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