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제로금리 근접 시 양적완화 바람직한지 고민할 시점"

2025-04-30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30일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정책금리가 제로 하한 수준에 근접하게 되면 양적완화 정책을 도입할 수 있을지,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등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이 한국금융학회와 '우리나라 통화 정책 수단의 운용 과제 및 시사점'을 주제로 개최한 정책 심포지엄 환영사에서 "우리 경제는 저출산·고령화 심화, 잠재성장률의 추세적 하락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과 EU(유럽연합) 등은 통화정책 운영체계로 금리하한 체계(floor system)로 전환하면서 양적완화 정책 등을 사용하고 있다. 시장 일각에서는 우리나라 또한 금리하한 체계로 바꿔야한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기존대로 금리 상하한 체계(corridor system)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유동성 공급 방법을 찾는 것이 낫다는 견해와 대립하고 있다.

이 총재는 "최근 우리 경제를 둘러싼 통화정책 여건의 중장기 구조적 변화를 고려해 통화정책 운영체계를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 것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시작해야 할 시점이 됐다"면서 경상수지 흑자 규모 추세적 감소 가능성과 거주자의 해외투자증가에 따른 유동성 수급을 우리 경제의 중대한 변화로 짚었다.

또 "그동안 통화정책 운영체계에서 기조적인 유동성 흡수 수단으로 주로 활용돼 온 통화안정증권의 역할을 재점검할 필요가 생겼다"며 "지표채권 및 고유동성 안전자산으로서의 통화안정증권의 역할을 고려해 부채관리활용과 환매조건부증권(RP) 거래도 유동성 변화 추세에 부응할 수 있도록 개선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날 열린 정책 심포지엄에서는 한은의 공개시장운영의 그간 성과를 평가하고, 최근의 정책여건의 변화에 대응한 앞으로의 운영 및 발전 방향을 모색됐다. 아울러 주요국 중앙은행의 비전통적 통화정책 운영 경험과 우리나라의 통화정책 운영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됐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