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송 KAIST AI대학원장 “AI 인재, 예산 쏟아도 기업이 안 뽑으면 결국 이탈”

2025-11-25

“정부가 인공지능(AI) 인재 유치에 예산을 쏟아부어도 궁극적으로 기업들이 일자리를 만들어주지 않는다면 결국 이탈을 막지 못할 겁니다.”

정송(사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재철AI대학원장은 25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제5회 국회미래산업포럼에 참석해 “돈을 들여서 인재를 데려오는 게 문제의 본질이 아니다”며 “(정부 지원으로) 돈을 준다면 인재들이 잠시 한국에 오겠지만 (정책) 유효기간이 끝나면 다시 (해외로) 되돌아갈 것이다”고 지적했다.

정 원장은 “한국이 인재 유치 정책이 가진 가장 큰 문제는 기업들이 크게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며 “가령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AI대학원 10개교를 만들고 6년 간 석·박사급 AI 인재 6000명을 양성했지만 네이버·카카오 같은 기업들이 그만큼 채용하지 않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대량으로 확보해 기업들을 지원해주고 있는 만큼 기업들도 그에 걸맞는 투자와 역할을 다해야 한다”며 “정치권이 기업들에게 요구해달라”고 주문했다.

정부는 내년도 AI 분야 예산으로 10조 원을 편성하고 AI대학원 같은 인재 양성 사업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하지만 정부 예산으로 마련된 일자리는 일시적으로 거치는 곳일 뿐 기업이 좋은 조건으로 채용해주지 않는다면 인재들은 결국 안정적 일자리를 찾아 해외로 나갈 수밖에 없다는 게 정 원장 생각이다. 막대한 정부 지원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 원장은 정부가 기업처럼 대학에도 GPU를 대량 지원해 인재들이 양질의 연구 경험을 쌓도록 해야 한다고도 조언했다. 그는 “머신러닝 학회 논문 기준 AI 대학 순위에서 KAIST가 4위에 오르는 등 우리 인재 역량은 부족하지 않다”며 단지 “이들을 어떻게 붙잡아두고 활용할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AI대학원 같은 대학 중심 인재 양성 사업에 국가가 보유한 GPU를 우선 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