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금융 재시동…금융권 '포용금융'·'임팩트 투자' 커진다

2025-07-16

이재명 정부 출범 안팎으로 은행권이 '포용금융'을 내걸고 사회적 금융 도입에 한창이다. 금융당국에서도 금융권의 사회적금융 추진 실적 집계를 재개하며 제도화에 시동을 걸고 있다. 이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내건 사회적 경제 기본법 제정 방침에 맞춰 금융권도 분주해지고 있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당국에서는 금융권의 사회적금융 실적 파악에 나섰다. 사회적금융 관련 데이터베이스(DB)를 보유한 신용정보원을 통해 그간의 공급 실적을 요청하는 등 뒤늦은 대응에 한창이다.

지난 정권에서 사회적 금융 관련 정책은 사실상 폐기 상태나 다름 없었다. 과거 1년에도 세 차례씩이나 관계 부처들을 소집해 개최하던 사회적금융협의회는 단 한 차례 열린게 고작이다. 한 차례 열린 협의회마저도 서면 개최에 불과했다. 금융위원회 등 각 부처에 관련 조직이 사라진 것은 물론 서민금융진흥원 등 담당 기관의 현황 자료도 2018년 이후 집계가 멈췄다.

사회적 금융 관련 정책이 사실상 방치된 가운데 가장 빠르게 나선건 은행권이다. KB금융은 KB국민은행에 포용금융부를 신설한 것은 물론 하반기 전략 키워드에 '포용'을 내걸었다. 우리은행에서도 '포용적 금융 플랫폼'을 선보이며 포용금융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은행권의 발빠른 행보는 이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내건 사회적 경제 기본법 제정에 대비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국회 발의된 사회적경제기본법안에는 사회적금융을 '사회문제를 개선하고 사회적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적경제 관련 사업에 투자·융자·보증 등을 통해 자금의 지속가능한 선순환을 추구하는 금융활동'으로 규정해 지원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은행권은 물론이고 금융권 전반이 마이크로파이낸스, 지역개발금융, 사회목적투자, 관계형 협동 금융 등 사회적 금융을 확대해야 하는 숙제가 조만간 다가올 것이라는 관측이다. 특히 금융투자업계와 여신금융업계는 기후나 에너지 분야 등 ESG과 관련한 임팩트 투자 확대, ESG 채권 발행 등을 통해 정부의 사회적 금융 확대 방침에 대응할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난 정권에서 사회적 금융 관련해서는 그 어떤 지침도 없었다”면서 “사회적 금융을 수행하기 위한 조직도 이미 준비된 만큼 국정과제가 구체화되는 방향에 따라 본격적으로 관련 업무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