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편차 심각…서울 52곳 중 32곳·부산은 29곳 중 1곳
전국 응급의료기관 10곳 중 4곳은 24시간 소아 응급환자 진료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응급의료기관의 소아 응급환자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국 응급의료기관 425곳 중 매일 24시간 내내 소아 응급환자 진료가 가능한 곳은 266곳(62.5%)에 불과했다.

나머지 158곳(37.5%)은 야간이나 휴일 등 특정 시간대에 소아 응급환자 진료가 제한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권역응급의료센터 44곳 중 9곳(20.5%), 지역 응급의료센터 137곳 중 48곳(35.0%), 지역응급의료기관 232곳 중 101곳(43.5%)이 24시간 소아 응급환자 진료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 편차는 매우 컸다.
현재 강원도는 권역·지역 응급의료기관을 모두 합쳐 22곳이 있지만, 이 중 24시간 소아 응급환자 진료가 가능한 곳은 1곳뿐이었다.
부산 역시 응급의료기관 29곳 중 소아 응급환자 24시간 진료가 가능한 곳이 1곳에 그쳤다.
반면 서울은 52곳 중 32곳, 경기도는 74곳 중 41곳이 24시간 소아 응급환자 진료가 가능해 지역별 의료접근성 불균형을 드러냈다.
전진숙 의원은 "필수의료 중 소아응급의료체계의 지역별 편차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진료권 중심의 중증·응급질환 24시간 전문의 대응체계 및 야간·휴일 소아 환자 진료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문가기고] 치매 조기예측, 병원이 아닌 일상에서 시작된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3/news-p.v1.20251023.8d7ad36e64a74baf9403c42434f1f557_P3.jpg)
![[2025 국감] 민간의료기관 보안관제 가입률 0.06%…국민 진료 정보 보호 '위험'](https://img.newspim.com/news/2024/10/16/241016150031862_w.jpg)

![[2025 국감] 장애인권익옹호기관 조사관이 장애인 성폭력…"신고 의무 부재" 비판](https://img.newspim.com/news/2025/10/28/251028144109063_w.jpg)

![양한광 국립암센터장 “국립암센터, 치료 넘어 국가 암 정책 선도… 핵심 축은 ‘인재’” [세계초대석]](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20251028515158.jpg)
![[2025 국감] 입양기록물 관리 집중 비판…노인일자리 공급·안전 관리 지적(종합)](https://img.newspim.com/news/2025/10/28/251028173525543_w.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