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네덜란드 정부가 중국의 반도체 기업의 네덜란드 자회사에 대한 경영권을 박탈하는 조치를 내리자 중국 내에서 강한 반발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해당 사안이 중국과 네덜란드의 국가 분쟁으로 확산되는 모습이다.
네덜란드 정부는 자국의 '상품 가용성 법'을 발동해 네덜란드 소재의 반도체 기업인 넥스페리아의 경영권을 장악하는 조치를 내렸다고 중국 증권시보가 14일 전했다. 넥스페리아는 중국의 반도체 기업인 윙테크(원타이커지, 聞泰科技)가 2019년 36억 달러에 지분 100%를 인수한 자회사다.
해당 조치는 지난 9월 30일에 내려졌다. 이로 인해 네덜란드 경제부 장관은 넥스페리아 이사회 결정의 실행을 막거나 뒤집을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됐다. 또한 윙테크는 넥스페리아의 자산, 지식재산권, 사업, 인력에 대한 변동을 가하지 못한다. 장쉐정(張學政) 윙테크 회장이 갖고 있던 넥스페리아 집행역 이사 지위도 정지됐다. 네덜란드 법원은 독립적인 외국인을 대표로 임명할 것이라고도 발표했다. 모든 주식 지분은 법원에 의해 지정될 개인이 수탁 관리하게 된다.
네덜란드는 이 같은 조치의 원인으로 "넥스페리아 내의 심각한 거버넌스상 결점들과 행위들"을 지목했으나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았다. 로이터 통신은 넥스페리아의 핵심 기술이 윙테크로 이전될 우려가 있다는 점이 문제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중국 내에서는 비난 여론이 들끓고 있다. 중국 외교부도 13일 해당 사안에 대해 "국가 안보 개념을 일반화해 특정 국가와 기업을 겨냥한 차별적 조치"라고 비판했고, 중국 매체들은 14일 비난 논평을 게재했다.
중국 관영 영어지 글로벌타임스는 14일 사설을 통해 네덜란드 정부를 강한 톤으로 비난했다. 글로벌타임스는 "네덜란드가 국제 규칙을 노골적으로 짓밟았으며, 국제 사회는 이러한 약탈적 행위를 용납할 수 없다"며 "중국의 자국 권익 수호에 대한 의지와 역량을 결코 과소평가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날선 반응을 보였다.
또한 "네덜란드는 공급망 안보를 이유로 중국 기업에 과도한 간섭을 했으며, 자산을 압류했다"며 "이는 과거 네덜란드의 식민지 약탈 역사를 떠올리게 한다"고 비난했다. 이어 "오늘날 중국 기업들이 마주한 주요 위협은 시장 내 경쟁이 아닌 네덜란드 정부와 같은 '약탈적 개입'이다"며 "중국 기업의 경쟁력이 강해짐에 따라 이 같은 '합법을 가장한 강도 행위'가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비판했다.
매체는 "세계가 식민지 시대의 보호무역주의와 일방주의로 회귀할 것인지, 아니면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세계로 나아가는지에 대해 네덜란드는 인식을 새로이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ys174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