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부터 쓰레기 분리배출 관련 단속이 강화돼 수십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는 '가짜뉴스'가 유튜브에 확산하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일 쓰레기 분리배출 관련 일부 유튜브 영상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인공지능(AI)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한 유튜브 영상에는 '구청 환경과에서 25년간 일한 공무원'이라는 인물이 등장해 '라면·과자 봉지를 종량제봉투에 버려 20만원', '두부 용기를 제대로 안 씻고 버려 9만원', '볼펜을 버려 80만원'의 과태료를 받은 사례를 봤다고 주장했다.
이 영상에는 620여개 댓글이 달렸는데, 대부분 영상 내용을 믿고 쓰레기 분리배출 규정이 너무 복잡하다는 비판이었다. 이 밖에도 '10월부터 종량제 봉투에 이것 넣으면 과태료 폭탄', '종량제 봉투 과태료 주의' 등 비슷한 내용의 영상들이 다수 올라왔다.
이에 대해 기후부는 "올해 분리배출 지침을 개정한 바 없으며 단속을 강화해달라고 지방자치단체에 요청하거나 과태료 부과 기준을 상향한 사실도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확한 분리배출 방법은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기후부는 알렸다.
생활폐기물 730개 품목의 분리배출 방법을 사진과 함께 안내하며, '자주 묻는 질문'을 통해 세부 기준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색 페트병은 부피를 줄이기 위해 압착 후 뚜껑을 닫아 배출하도록 안내돼 있다.
스마트폰으로 접속하면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역별 배출방법과 장소를 지도 형태로 알려준다.
김성환 기후부 장관은 "인터넷 영상 등을 통해 분리배출에 관한 잘못되거나 자극적인 정보가 퍼지면 관련 정책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며 공식 안내 채널 홍보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