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의 2036 하계 올림픽 유치는 대한체육회 대의원총회가 열리는 오는 28일까지 ‘10일 전쟁’에서 승패가 결정날 것으로 전망된다.
하계 올림픽 유치를 두고 전북이 피말리는 싸움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유치도시 결정을 열흘 앞두고 대한체육회 내부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에따라 남은 10일 동안 전북도와 국회·지방의원,14개 시군의 총력전은 전북의 하계올림픽 유치를 넘어 향후 전북 발전의 동력이 될 전망이다.
전북정치권 관계자는 “지난 17일 체육회 이사회의 하계올림픽 개최지 선정 논의 결과는 체육회는 물론 정치권 누구도 예상 못한 결과였다”며 “김관영 지사가 지난해 전북 하계올림픽 유치를 선포할때만 해도 지금과 같은 결과가 올지 생각하지 못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지난 17일 열린 체육회 이사회에서 전북-서울 공동개최는 법적 구속력이 없는 건의사안에 그쳤지만 36명의 이사중 17명이 공동개최에 무게를 두었다.
전북도가 하계올림픽 유치 명분으로 내건 지역균형발전 전략이 개최지 선정의 새로운 변수로 떠 오르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같은 흐름속에 김관영 도지사는 전북 올림픽 유치를 위해 76명의 체육회 대의원 뿐아니라 이른바 한국체육계의 큰 손들과 맨투맨식 접촉을 갖고 있다.
76명의 대의원은 올림픽 개최지 표결권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전북 올림픽 유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수 있다면 거물 체육계 인사들과 만남은 전북 올림픽 유치의 명분을 확산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전북정치권 관계자도 김 지사의 이같은 전략에 동의하면서 “서울을 상대로 전북이 이길수 있는 유일한 해법은 체육계 내부에서 ‘지역균형발전’이라는 공감대 형성”이라며 “한국 체육사에 족적을 남긴 현정화 전 탁구선수, 이회택 전 축구감독 등이 전북 유치에 나선 것은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유창희 정무수석 등 전북도 관계자는 하계올림픽 개최지 선정때까지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체육회 대의원들을 만나 전북 유치의 당위성 설명에 나섰다.
유 수석은 18일 경기도 용인에서 아이스하키연맹 회장을 면담하고 전북의 올림픽 유치가 단순히 체육회 행사가 아닌 미래의 대한민국 발전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국회 문체위의 김윤덕 의원(민주·전주갑) 등 지역 국회의원들도 하계올림픽 유치도시 결정에 앞서 체육계 인사들과 잇달아 접촉해 전북 지지를 호소할 예정이다.
이번 전북 올림픽 유치전에서 전주시 등 14개 시군의 노력을 빼놓을 수 없다.
우범기 전주시장, 권익현 부안군수 등은 체육회의 올림픽 유치도시 결정에 앞서 유승민 대한체육회장 등과 만남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전북도를 비롯한 지자체는 체육회의 유치도시 결정때까지 유기적 협조관계를 구축하는 등 전북내 에너지를 최대한 끌어올릴 방침이다.
실제 전북도는 18일 기초단체 부단체장과 영상회의를 개최하고 종목단체별 대응 추진상황 점검과 건의사항을 수렴했다.
한편 체육회는 오는 28일 열리는 대의원총회에서 대의원 비밀투표를 진행해 서울-전북 공동개최 의견이 모아지지 않으면, 서울과 전북 두곳 중 하나를 2036 올림픽 유치 후보 도시로 선정한다.
서울=전형남 기자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