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술로봇 플랫폼 기업 로엔서지컬은 미국 UC 샌디에이고와 수술로봇 기술 개발에 대한 공동 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공동 연구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민간 주도 혁신형 연구개발(R&D) 지원 프로그램인 '스케일업 팁스' 글로벌형 과제 일환이다. 이번 계약에 따라 로엔서지컬은 미국 UC 샌디에이고와 2028년까지 인공지능(AI) 기반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 기반 수술로봇 기술 개발 및 임상을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공학적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병원과 협업해 임상적 연구개발도 함께할 예정이다.
로엔서지컬의 자메닉스는 의료진의 전 수술 과정을 정밀하게 보조하는 첨단 수술로봇이다. 초소형 유연내시경이 절개 없이 요도와 요관을 통과해 신장 내 결석을 제거한다. 환자 호흡에 따라 움직이는 결석 위치를 자동 보정해 레이저 조사 정확도를 높이고, 수술 시간을 단축시킨다.
이번 공동연구에는 신장결석 치료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의과대학 로저 서(Roger Sur) 교수와 의료로봇 및 AI 연구를 선도하는 공과대학 마이클 입(Michael Yip) 교수가 책임연구자로 참여한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로봇 연성내시경 기술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로엔서지컬은 지난주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열린 세계 비뇨기 학술대회(WCET25)에 참가해 자메닉스를 활용한 로봇 보조 내시경 결석제거수술 세미-라이브 서저리(semi-live surgery) 강연을 진행했다. 회사는 복잡한 고난도 신장결석 수술 증례를 통해 로봇 수술의 임상적 효용성과 이점을 제시했다.
권동수 로엔서지컬 대표는 “미국 학회 세미 라이브 서저리를 통해 국산 기술인 자메닉스의 우수성을 세계 비뇨기학계에 알릴 수 있었다”며 “UC 샌디에이고와의 협력을 통해 세계적 권위자들과 함께 수술로봇 기술을 한층 고도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