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가상자산 시장에 충격을 안긴 테라·루나 폭락 사태는 약 65조 원에 달하는 투자자 손실을 남기고 블록체인 역사상 최악의 붕괴 사례 중 하나로 기록됐다. 그로부터 3년 후, 테라폼랩스는 미국 델라웨어 파산법원의 감독 아래 공식적인 채권자 보상 절차를 개시했다.
미국 파산관재인(Kroll Restructuring)은 2025년 5월 16일(미국 동부시간 기준)까지 온라인 포털을 통해 채권 신고를 접수하며, 기한을 넘긴 경우 보상이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 테라폼랩스가 마련한 보상 재원은 최소 1억8450만 달러(약 2450억 원)로 추산된다.
현재 피해자들은 보상을 받기 위해 온라인 포털에 접속해 신청서를 작성하고, 이메일 인증과 구글 OTP 설정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청구 과정에서는 ‘우선 증거(Preferred Evidence)’로 거래소 API 키나 지갑 연동을 권장하고 있으며, 이는 신뢰성과 검토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안내되고 있다.
다만, 국내 거래소의 경우 일부는 API 연동 시 고정 IP 주소 등록을 요구하거나 외부 접근 자체를 제한하고 있어 해당 정보를 사전에 인지하고 설정해야만 정상적인 제출이 가능한 구조다. 이로 인해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는 절차 이해와 기술 설정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

디센트 법률사무소 진현수 대표변호사는 “청구 시스템이 외형상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 절차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정보 접근력과 기술적 이해가 요구된다”며 “한국 투자자들이 실질적으로는 스스로 청구를 완료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어 “테라 사태의 채권신고는 기한 내 온라인 신고가 필수이고 신청자의 입력 오류나 자료 제출 누락이 있는 경우 보상이 기각될 수 있는 구조인 만큼, 최근에는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안전하게 신고를 진행하려는 투자자들의 선택이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보상 청구 대상은 제한적이다. 테라 2.0 루나(루나2)는 대상에서 제외되며 온체인 유동성이 100달러 미만인 자산도 인정되지 않는다. 청구 시점에 자산을 보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과거 특정 시점의 보유 내역과 손실이 확인될 경우 청구는 가능하다. 단, 관련 자료는 정해진 형식에 맞춰 체계적으로 제출되어야 한다.
디센트 법률사무소는 한국 내 테라·루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파산채권 신고 절차를 지원하고 있으며, API 발급, 수동 증거 구성, 청구서 제출 전 검토 등 복잡한 과정을 돕고 있다. 관련 신청은 디센트 법률사무소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