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위·산자위·환노위 등 국감에 주요 유통기업 대표 증인 채택
홈플러스 사태, 불공정 행위, 산재사고 등 중대 사안에 ‘초긴장’
[미디어펜=김성준 기자] 추석 연휴 직후 열리는 국정감사를 앞두고 국내 유통사 수장들이 대거 증인으로 채택되면서 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불공정 행위, 개인정보유출 등 민감한 사안이 화두에 오르면서 관련 기업들은 국감 준비로 분주한 연휴를 보낼 전망이다.

3일 국회에 따르면 오는 13일 시작하는 국회 국정감사에는 △교촌에프앤비 △무신사 △신세계 △아성다이소 △우아한형제들 △쿠팡 △홈플러스 △CJ올리브영 △SPC 등 국내 주요 유통업체 대표들이 대거 증인으로 채택됐다.
국회 정무위원회(정무위)에서는 14일 공정거래위원회 대상 국감에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김광일·조주연 홈플러스 대표와 모회사인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 윤종하 부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홈플러스 기업 회생 신청으로 납품업체와 협력사 등 업계에 미친 파장이 큰 만큼 책임론이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날 김범석 쿠팡 의장과 김명규 쿠팡이츠 대표도 온라인플랫폼 불공정 거래와 관련해 증인으로 채택됐다. 특히 김 의장은 쿠팡플레이 스포츠패스 요금, 쿠팡 대만사업, 쿠팡inc 주식 보유, 판매 장려금 등과 관련해 집중 질의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장보환 하남에프앤비 대표가 가맹사업법 위반 사건과 관련해, 송종화 교촌F&B 대표가 교촌치킨 가맹점주 갈등과 최근 중량 축소와 관련해 질의를 받는다. 김범석 우아한형제들 대표도 온라인 플랫폼 불공정거래 관련 증인으로 채택됐다.
28일 정무위 종합 국감에는 이선정 CJ올리브영 대표가 점포별 매출 할당 및 직원 구매 강요 등 ‘갑질’ 의혹과 관련해 증인으로 호출됐다. 이종근 명륜당 대표도 가맹점주 대상 불법 대부업을 영위한 것과 관련해 질의를 받는다.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에서도 14일 쿠팡의 정산 방식과 수수료 공제 구조, 광고 정책 등 전반적인 운영 실태를 점검하기 위해 박대준 쿠팡 대표를 증인으로 채택했다. 김기호 아성다이소 대표도 납품업체 등에 대한 불공정 행위 여부를 점검 받는다. 조만호 무신사 대표와 이주철 W컨셉 대표는 플랫폼-판매자 간 거래 공정성 점검 차원에서 호출됐다.
김범석 우아한형제들 대표는 배달앱 불공정 운영과 소상공인 비용 전가 문제, 플랫폼산업 독점 문제 등과 관련해 증인으로 채택됐다. 이수진 야놀자 대표는 플랫폼 사업자가 거래상 우월한 지위를 통해 입점 소상공인(숙박업소)에게 부당한 손해를 전가하는 피해 대책에 대해 질의 받는다. 24일 산업부 종합 국감에서는 정용진 신세계 회장을 불러 최근 신세계와 알리바바그룹 기업결합 건과 관련해 온라인 플랫폼의 국내소비자 정보 보호를 점검할 예정이다.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는 15일 고용노동부 대상 국감에 정종철 쿠팡CFS 대표와 도세호 SPC 대표를 증인으로 채택했다. 정 대표는 일용직 제도 개선 대책과 관련해, 도 대표는 SPC 삼립 시화공장 기계끼임 사망 사고와 관련해 질의 받는다. 30일 환노위 종합 국감에는 김병주 MBK 회장이 홈플러스 통폐합 과정에서 노동자 처우 문제로, 김기원 한국맥도날드 대표가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근로자 사망과 관련해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국정감사인 데다 중대한 사안도 많아 대상 기업들의 부담이 클 것”이라며 “기업 입장에선 국감 준비를 철저히 해도 정작 호통만 듣고 답변할 기회조차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이번 국감은 문제 원인을 함께 짚고 해결하는 과정이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