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뛰자 남미 불법 금 채굴 성황…"밀수출 60%↑"
페루·콜롬비아서 폭력 세력 개입…환경파괴도 가속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세계 시장에서의 금값 상승세를 타고 한몫 잡으려는 '무허가 골드러시'에 남미발(發) 금 밀거래 규모가 팽창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페루경제연구소(Instituto Peruano de Economia)는 남미 금광 일대 대기 중 중금속 배출량 데이터와 남미 광업 당국 자료 등 분석을 토대로 올해 역내 불법 금 수출액 규모를 120억 달러(16조8천억원 상당)로 추산했다고 17일(현지시간) 밝혔다.
연구소는 최근 공개한 보도자료에서 "금값 상승분 등을 반영할 때 남미에서의 금 밀수출 액수는 2024년보다 60% 이상 늘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이는 사상 최고치"라고 설명했다.
금값은 글로벌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 미국 달러화를 대체하는 안전자산 투자 심리, 중국에서의 강한 수요에 등에 힘입어 지난해 하반기부터 오름세를 보인다.
이는 불법 금 생산도 부추겼는데, 새로운 금 채굴업자들이 폭력 세력과 결탁해 생산 체인에 진입하고 새로운 거래지 탐색에 나서도록 유도했다고 페루경제연구소는 짚었다.
연구소는 "2024년 3분기 기준 금 평균 가격은 2023년 같은 기간 대비 29% 올랐는데, 페루에서는 이 시기 신규 금 거래·가공업체 등록 건수가 2배 증가했다"며 "당국의 관리 감독이 느슨한 것도 한 원인으로 볼 수 있다"고 부연했다.
페루는 콜롬비아·볼리비아 등과 함께 남미 불법 금 채굴 중심지로 꼽힌다.
이들 3개 나라는 남미 전체 불법 금 생산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페루경제연구소는 보고 있다.
불법 금 채굴업자들은 무장세력과 연계된 경우가 많은데, 이 여파로 합법 노동자와 지역 주민을 향한 위협도 커지는 상황이다.
실제 최근 페루에서는 범죄 조직원들로 추정되는 이들의 공격으로 금광 보안요원 13명이 참혹하게 피살되기도 했다.
대부분 아마존 열대우림에 있는 불법 금 채굴지의 환경 오염 문제도 지적된다.
불법 무허가 업체들이 흙에서 금을 분리하기 위해 수은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는데, 찌꺼기를 그대로 강물에 흘려보내거나 토양에 방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마존과학혁신센터(CINCIA) 연구에 따르면 페루 남동부 마드레데디오스 지역 대기 중 수은의 70% 이상은 소규모 광업에서 유래한다면서, 일부 지역 대기 중 수은 농도는 한때 세계보건기구(WHO) 허용 기준을 5배 초과하기도 했다고 현지 일간 엘코메르시오는 보도하기도 했다.
삼림 파괴도 빨라지고 있다.
안데스 아마존모니터링프로젝트(MAAP)는 "2018년 기준 97만㏊(9천700㎢)였던 광산 활동 관련 누적 산림 벌채 면적은 6년 만인 2024년에 200만㏊(2만㎢)를 넘어 섰다"고 밝혔다. 이는 서울 면적(605㎢)의 33배 수준이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림